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어트
성공
하려면 ‘기대를 버려라’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다른 사람에게 예쁘게 보일 것을 기대하면서 다이어트에 매진한다. 그런데 다이어트에
성공
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결과나 혜택을 기대하는 마음가짐보다는, ‘체중을 줄이겠다’는 구체적인 목표에 집중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예일대 토마스 콜디츠 교수팀은 매해 미국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자웅모자이크)를 해부해 수컷의 구애행동에 필요한 중추신경계의 지도를 그리는 데
성공
했다.홀은 초파리의 동성애에도 매료됐다. 1963년 예일대에서 프루티(동성애)라는 돌연변이 초파리가 동성애 성향을 보인 적이 있었다. 훗날 홀이 이 돌연변이를 받아서 수컷들끼리 구애행위를 보이는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않았고, 1933년에서야 시범적으로 500부를 제작해 배포하게 된다. 그런데 그 결과는 대
성공
이었다. 노선도의 반응이 좋아 그해에만 70만 부를 더 찍을 만큼 큰 인기를 누렸다.놀라운 것은 이 새로운 노선도가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연구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는 점이다. 런던지하철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교수팀은 잘 휘면서도 충·방전을 1만 번 반복할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
해 저널 ‘나노레터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딱딱한 광물인 운모로 만든 기판 위에 양극재료인 ‘리튬코발트산화물’을 얇게 층층이 쌓아 올려 700℃로 열처리했다. 그 뒤 운모 기판을 떼어내자 남은 물질은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전에 질문이나 화제를 미리 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난 토요일에 최초로 튜링 테스트에
성공
했다고 자랑스럽게 선언한다.” 논란이 있을 것을 예상한 발언이다. 무엇이 진짜 튜링 테스트일까? 당연하다는 듯이, 논란이 일었다. 레딩대의 발표 다음날 영국의 과학주간지 ‘뉴사이언티스트’는 ... ...
"SCV good to go, Sir"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해 중국의 달 탐사선 ‘옥토끼’호가 착륙에
성공
했다. 미국은 2020년까지 월면기지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고, 일본은 2016년까지 무인 로봇을 보낸 후 2025년엔 달에 과학기지를 세울 계획이다. 우리나라도 질세라 2020년 달 궤도선과 달 착륙선을 쏘아 올린다고 발표했다. 새삼스럽게 사람들이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그래핀을 여러겹으로 겹쳐 아주 얇은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성공
한다면 새로운 전기적, 기계적 성질을 가진 물질이 만들어 진다.이외에도 UNIST에는 내로라하는 과학자들이 모여있다.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을 이끄는 스티브 그래닉 교수는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공학과 ... ...
가면을 쓰는 비용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 때문에 정작 해야 할 일을 잘 못하게 될 수 있다. 온 열과 성을 과제에만 집중해도
성공
여부를 장담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인데 자기검열까지 해야 한다면 아무래도 좋은 성과를 내기 어렵지 않을까. 이 때문에 학자들은 도덕적인 이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이유에서도 차별금지법과 같은 법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돈 후 저 멀리서 다가오는 사령선을 볼 수 있었다.이제 사령선과 도킹 직전이다. 도킹에
성공
하면 해치를 열고 12명의 승무원은 감격적인 포옹을 할 것이다. 궤도 위에서 더 외롭고 고단했을 사령선의 승무원들과 착륙선의 승무원들은 서로를 축하하고 격려할 것이다. 그러고 나면 지구로 출발할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쥐에 이식해 장에 염증이 만성으로 생기는 자가면역질환 ‘크론병’을 치료하는 데
성공
했다(75p 그림). 아직 동물실험 단계지만, 이런 연구가 쌓이면 난치병 환자에게 희망이 될 수 있다. 면역억제인자를 분비하는 중간엽줄기세포는 다른 사람 몸에 들어갔을 때 면역공격을 피할수 있어 장기이식에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