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로 청각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성장인자를 첨가해 유모세포로 성장시켰다. 이렇게 분화된 유모세포는 소리를 감지해
전기
적인 신호를 발생시켰고,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형태도 실제 쥐에서 추출한 유모세포와 비슷했다.신 박사는 “유모세포는 한 번 손상되면 다시 재생되지 않는다”며 “이번 연구는 유모세포가 ... ...
태양만 있으면 무한질주! 쏠라포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가장 주목받고 있는 친환경에너지원이다.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태양빛의 광자가 금속 같은 물질과 부딪칠 때 물질의 표면에서 전자가 튀어 나오는 광전효과를 이용한다. 이 이론으로 아인슈타인은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친환경에너지 모형 자동차인 ... ...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대단하지? 우리나라에서도 농촌진흥청이 1998년부터 가축 분뇨로 액체 비료를 만들고
전기
를 만드는 시설을 운영하고 있어.전북 익산 왕궁지역에는 국제바이오에너지 연구센터가 들어서 새만금 지역의 수질을 개선하는 데 일조할 계획이래. 그동안 이곳은 축산단지의 오물과 폐수 때문에 사람은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나로 호가 세워져 있는 모습. 작년 8월에 이어 올해 5월에 다시 발사될 예정이다.❷ 조선
전기
무기체계 대한 자세한 기록이 담겨 있는 책인 병기도설. 신기전에 대한 내용이 들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❸ 박사님이 복원하신 가장 작은 크기의 신기전인 소신기전과 발사대인 화차.❹ 박사님이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가진 나노 크기의 로봇이 몸 속으로 들어가 아픈 곳이 생길 때 마다 고쳐 주면 되니까요.
전기
가 통하는 플라스틱을 이용해 TV를 지갑에 돈처럼 넣고 다니는 것도 문제 없겠죠?와우! 누구 한 재료만을 뽑기 어렵겠는데요? 그렇다면 공동대표는 어떨까요? 모든 미래 재료들이 함께 재료 나라를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런데 2008년 4월 유럽 과학자들이 매우 강하고 짧은 펄스의 레이저 사용해 뇌운 속에
전기
활동을 일으키는 데 성공했다. 비록 펄스 레이저가 만든 플라스마 통로가 너무 짧아 하늘에서 지상으로 이어지는 번개가 만들어지지는 않았지만 뇌운에 방전을 일으킨 결과는 인공 번개를 만드는 첫 단계를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 논문은 미래에 쓰인다는 점을 감안해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전기
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물의 양, 배출되는 열량, 발전소 부지의 면적, 수질오염을 엄격히 반영하고 있다.또 이 논문에 따르면 원자력은 현재 발전 속도가 가장 빠르고 차지하는 비중 역시 높은 것으로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퇴적물형을 조합한 융합형 시스템도 개발했다.미생물연료전지가 폐수처리와 동시에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는 측면에서 매우 매력적인 연구임에는 틀림없다. 물론 미생물연료전지에서 획득할 수 있는 에너지의 크기는 현재 대체에너지의 개념과는 거리가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에너지 위기를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옮김 | 지호 | 1096쪽 | 6만 6000원영국의 영장류 연구가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의
전기
다. 한 손으로 들기가 어려울 만큼 두껍고 무거운 책이지만, 구달을 좋아하고 존경하는 팬이라면 지금껏 언론이나 방송에서도 들을 수 없었던 그의 세세한 인생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그의 성장 과정과 ... ...
반도체 소자를 이해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물리전자연구실의 소중한 가르침은 한결같으리라 생각한다. 홍성민서울대
전기
공학부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공학박사를 마쳤다. 현재 독일 뮌헨 연방군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을 보내고 있다. 창의적인 발상은 열린 마음에서 증폭된다. 다양한 분야의 책을 많이 읽고 자신만의 스트레스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