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뉴스
"
암
"(으)로 총 3,407건 검색되었습니다.
EU, ‘1조2000억원 짜리’ R&D 빅프로젝트 본격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RESTORE)’란 프로젝트는 세포와 유전자 치료의 발전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암
과 당뇨병과 같은 질병에 큰 희망이 될 수 있는 치료법이지만 복잡한 과정과 비싼 비용 탓에 잘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를 넘어서겠다는 것이다. 태양에너지 기술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도 ... ...
소리 쏘아 세포의 말랑함 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숫자로 빠르게 재는 기술은 지금까지 없었다”며 “바이러스를 퇴치할 백신을 만들거나
암
환자 조직의 약물 반응을 보고 약물전달에 쓰일 입자의 특성을 찾는데도 쓸 수 있다”이라고 말했다 ... ...
암
유발 후성유전 인자 ‘히스톤 단백질’ 변성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조절할 수 있는 표적을 규명한 것”이라며 “H3 메틸화 제어를 통해 줄기세포 분화나
암
세포 분화 및 역분화를 통해 조절되는 다양한 질환 치료제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골수이식 부작용 줄이는 ‘T세포 공장’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있다. T세포는 면역세포의 일종으로 항원 특이성을 갖고 있어서, 각각 다른 바이러스나
암
세포의 항원을 인식해 공격한다. 연구진은 사람 뼈의 가장 안쪽에서 T전구세포를 생성하는 부분인 골수에 주목했다. 여기서 생성된 T전구세포는 흉선에서 T세포로 분화한다. 골수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 ...
"궐련형 전자담배, 일반 담배만큼 폐에 해로워"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전자담배가 덜 해롭다는 임상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만 정부는 궐련형 전자담배에도
암
유발 경고 그림을 부착한다. 10일(현지시간) 이같은 논란을 증폭시킬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궐련형 전자담배 역시 일반 담배와 독성이 비슷하다는 내용이다. 호주 과학자들이 일반 담배와 전자담배, 궐련형 ... ...
만성 B형 간염 치료제 개발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9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T세포를 추출했다. 연구에 참여한 에반 뉴웰 프레드허친슨
암
연구센터 박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면역학’에서 “HBV에 특별히 반응하는 T세포의 수치를 측정하면 초기에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감염 정도를 알 수 있다”고 ... ...
암
, 림프절 전이 과정 국내 연구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암
세포는
암
이 처음 시작된 곳에서 혈관 또는 림프관을 통해 전이를 시작한다. 그 중 림프관으로 나온
암
세포는 첫 번째 만나는 림프절에 도달해 자라 ... 될 것으로 보인다. 고 단장은 “
암
세포가 지방산을 산화하는 과정을 표적으로 하는 차세대 항
암
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난치성 만성통증 치료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분비해 손상된 세포의 세포막을 녹이고 세포질을 해체해 제거한다. 오 교수는 “
암
세포나 바이러스 감염 세포의 경우 RAE-1이 NK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이 잘 밝혀져 있다”며 “똑같은 과정이 말초신경 부위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번에 새롭게 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NK 세포가 ... ...
기초연구 부족으로 상용화 속도 더딘 '인공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할 예정이다. 에이미 로왓 미국 로스엔젤레스캘리포니아대(UCLA) 생물물리학과 교수는
암
세포의 생체역학에서 힌트를 얻어 인공 소고기의 마블링을 늘릴 수 있는 지지체 설계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
제12회 아산의학상에 김빛내리·김종성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유전자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RNA 혼합꼬리’를 발견하기도 했다. 해당 연구들은
암
과 같은 난치병과 유전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김종성 교수는 한국인 뇌졸중의 특성과 그 치료법 규명에 힘써왔다. 한국인 뇌졸중 환자의 뇌혈관 질환의 특성과 뇌졸중 후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