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근육을 선물로 얻었답니다. 시험발사체 관문을 무사히 통과한 누리호는 본격적으로 개발이 시작될 예정이에요. 2021년까지 수많은 과정을 거치며 3단 발사체의 위용을 뽐낼 예정이지요. 누리호가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멋지게 발사되는 그날까지, 많은 관심 가져 주세요~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마하 5까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조금 특별한 극초음속 비행기를 개발하고 있어요. 극초음속 비행기는 마하 5 이상(음속의 5배 이상)으로 나는 비행기를 말해요. 로켓을 타고 미사일처럼 대기권 위로 높이 솟아올랐다가, 대기권에 진입해 극초음속으로 비행하지요. 일단 비행기를 ...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최대 30분간 비행할 수 있어요. 볼로콥터는 앞으로 드론 택시를 부를 때 사용할 앱을 개발하고 있어요. 집에서 앱을 이용해 목적지를 입력하면 드론 택시가 가까운 착륙장으로 오지요. 이착륙은 건물 옥상이나 헬리콥터 이착륙장에서 할 수 있기 때문에 먼 공항까지 갈 필요가 없어요. 드론 택시에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설치할 수 있는 ‘해저 케이블’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2012년에는 한국에서 최초로 개발한 HVDC 해저 케이블이 전남 진도에서 제주도까지 설치되기도 했답니다. 와! 이젠 전기를 보내는 케이블까지 전세계로 연결된다니, 내가 살던 때의 실크로드와는 완전히 달라졌구나! 앞으로 실크로드가 또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멈추는 것에서 그치겠지만, 자율운항선박의 경우 고려해야 할 경우의 수가 더 많아 기술개발이 더 어렵답니다. 작년에 진행한 수조 테스트를 통해 야라 버클랜드가 컨테이너 박스 120개 정도는 거뜬히 실을 수 있단 걸 확인했어요. 이 정도면 30t(톤)이 넘는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답니다. 앞으로 202 ...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불량품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했답니다. 이어 탐방 대원들은 명지과학기술대학교의 OLED 개발 연구소를 방문했어요. 이곳은 먼지에 예민한 장소이기 때문에, 입장하기 전에 방진복을 입고 바람으로 먼지를 씻어내는 이색 체험도 해 볼 수 있었지요. 마지막으로 찾은 곳은 신주과학산업단지에 있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불리는 ‘아두이노’지요. 아두이노는 2005년 이탈리아 마시모 반지 교수가 교육용으로 개발한 도구로, 다양한 센서나 부품을 연결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해 간단한 로봇이나 스마트 기기 등을 만들 수 있지요. 친구들은 코딩 교육 강사인 강영주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모스 전신기와 컴퓨터를 ... ...
- Part 2. 스마트팜, 미래엔 농사도 두뇌 노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폭염과 같은 피해를 예방하고 있어요. 최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양승환 수석연구원이 개발해 화성의 포도 농가 50곳에 적용한 원격 제어 기술이 대표적이예요. 이 기술은 온도와 습도 등 6가지 정보를 센서로 측정하며 폭염과 한파, 장마 등으로 농작물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으면 알람을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회사를 세우고 식물의 생체 정보를 파악하는 칩인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를 개발했어요. ‘MEMS’는 환경 센서 등에 쓰기 위해 매우 작게 만드는 기계로, 10억 분의 1m의 크기를 다루는 나노기술이 필요해요. 텔로팜은 서울대학교 근처에 텃밭 ‘도시농업연구소’를 짓고 MEMS를 이용해 토마토 ... ...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ISS가 활동한 지 벌써 20년이 되었구나. 그동안 우주에 떠 있는 거대한 실험실의 역할을 훌륭하게 해냈지. ISS의 뒤를 이을 우주정거장도 무척 기대가 돼. 이젠 지구가 아니 ... 왕복하는 셔틀버스’인 셈이에요. 딥 스페이스 트랜스포트는 2033년에 화성 항해를 목표로 현재 개발 중이랍니다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