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디로렌조 박사팀은 지난 2016년 오줌을 넣으면 세균이 반응해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를 개발하기도 했답니다. ● 스토리 “으악, 아무래도 아저씨를 따라잡긴 어렵겠어.” “어떻게 해야 하지?” 그때였어요. ‘우르르 쾅쾅!’ 천둥소리가 크게 나면서 아저씨가 탄 차에서 이상한 빛이 ... ...
- Intro.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미래 직업은? 대세는 농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안녕! 나는 스마트하게 농사 짓는 농부 ‘돼농’이야. 농부가 부지런히 일하지 않고 한가로이 게임이나 하냐고? 잘 봐. 게임이 아니라 농사 중이라고. ... 식물과 통(通)하다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연구는 처음이랍니다. 메마른 땅에 물을! 사막농업 기후 변화로 가뭄이 잦아지고 각종 개발로 삼림이 파괴되면서 지구 곳곳에서 우리나라 크기의 땅이 매년 사막이 되고 있어요. 노르웨이 과학자 크리스티안 올레센은 이런 사막화의 대안으로 사막 농업을 연구하고 있어요. 2017년 12월,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어벤져스 정이준 선생님은 “웅천천은 멸종위기 1급 보호종인 감돌고기의 서식지로, 개발로 인해 자취를 감췄던 감돌고기가 복원사업을 통해 겨우 돌아왔다”며, “사라지는 물고기들을 지키기 위해서는 지사탐 대원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소감을 말했답니다. 구피, 너가 거기서 왜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시작했죠. 소프트웨어는 형이 만들고, 로봇 본체는 같이 만들고 있어요. Q 로봇을 개발하는 게 어렵지 않나요?제가 공학을 전공하지 않아서 조금씩 배워가며 하고 있어요. 하루는 로봇이 너무 커서 로봇을 보관할 창고의 문을 새로 짜야했어요. 기왕 하는 거 스마트폰을 이용해 창고 문을 원격으로 ...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컴퓨터 과학자인 마거릿 해밀턴이에요.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한 그는 NASA의 프로그램 개발에 합류했어요. 마거릿 해밀턴이 이끈 팀은 아폴로 우주선을 안전하게 달에 착륙시킨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비상 상황을 대비하여 프로그램에 추가한 경고 기능은 컴퓨터가 고장날 뻔한 아폴로 11호를 ... ...
- 노벨화학상, 생물로 단백질 공장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효소에 진화를 일으키다!올해 노벨 화학상은 ‘단백질의 진화’를 연구한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프랜시스 아널드 교수, 미국 미주리대학교 조지 스미스 교 ... 항체들을 골라내기 위해 이 기술을 쓴 거예요. 덕분에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항체 약물을 개발할 때 큰 도움이 되었답니다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박사예요. 저는 이곳에서 유기화합물을 이용해 빛을 내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개발하고 있답니다.Q위키피디아에 여성 과학자에 대한 글을 쓰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영어 위키피디아의 인물 항목 중 여성을 다루는 글은 겨우 17.7%에 불과해요. 세상 사람의 절반은 여자인데 말이죠! 이 ... ...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자가 되는 방법 大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만큼 인공 부화에 성공했을 때의 기쁨도 컸어요.”매미의 알을 인공 부화시키는 기술이 개발되면 매미의 종을 보전하는 데 큰 보탬이 될 수 있어요. 예상치 못하게 매미가 멸종위기에 처했을 때, 매미의 알을 실험실에서 인공 부화시키고 이를 애벌레로 키워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방식을 통해 멸종을 ... ...
- [이 얼굴을 지켜주세요] 혓바닥이 삐죽삐죽 ,기수갈고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기수갈고둥의 유전 정보를 이용해 서식지를 알아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런 노력으로 기수갈고둥이 다시 많아지길 기대해 주세요!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