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그리고 심지어 비교적 확실한 조상이라고 이야기하는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는 모두
최초
의 인류 조상인지, 인류 조상과 침팬지 조상이 갈라지기 이전의 계통, 즉 류와 침팬지의 공통 조상에 속한 화석인지 아직 분명하지 않다.분기점 이후의 초기 인류로 확실한 화석은 플라이오세인 약 400만 년 ... ...
고대이집트인 ‘가짜 발가락’ 신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없는 미라의 발에 붙어 있었다.지금까지는 기원전 300년 전 로마시대 카푸아에서
최초
로 의지를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집트 가짜 발가락 유물들은 이보다 300년 정도 앞선 기원전 600년 전 것이다. 핀치 박사팀의 연구 결과는 의학저널 ‘더 란셋’ 2월 12일자에 실렸다 ... ...
“수학, 과학 영재들의 천국”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다니며 과학고를 처음 알게 됐다. “과학고 중에서도 경기과학고가 우리나라
최초
의 과학고라는 점에서 선망의 대상으로 여겼어요. 동문도 많이 배출했고, 과학교육에도 남다른 노하우가 쌓였을 거라 믿었어요. 그래서 뒤늦게 준비를 했는데, 영재고로 전환된 뒤 첫 입시여서 뭘 준비할지 전혀 ... ...
물리-지구를 떠나려면?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태양계 밖에는 무엇이 있을까? 1972년 지구
최초
로 파이어니어 10호가 태양계 너머를 향해 출발했다. 하지만 파이어니어는 태양계를 벗어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이 있다. 바로 탈출 속도다. 어떤 물체가 항성(또는 행성)의 중력장을 벗어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속도를 탈출 속도라고 한다.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수’에 문자 e를 사용했다. 그러다가 1736년에 출판된 그의책 ‘역학(Mechania)’에 문자 e가
최초
로 인쇄됐다. *자연로그자연로그는 오일러의 수 e를 밑으로 하는 로그이다. y=ex일 때, x=logey=lny를 y의 자연로그라 한다.*쌍곡선평면 위에 있는 두 정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로 이루어진 곡선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성질을 가진 필름(RAM·전자파흡수재료) 등을 전투기 표면에 고르게 붙여 주는 방법이다.
최초
의 스텔스기인 ‘F-117A 나이트호크’나 그 이전에 실험적으로 스텔스 기능을 일부 도입했던 ‘SR-71 블랙버드’ 등을 이 RAP 방식으로 만들었다. 폴리우레탄 계열의 물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수 있다.이처럼 실제 눈의 원리를 이용한 로봇 눈을 개발한 것은 이 교수팀이 세계
최초
다. 기존의 로봇 눈과 비교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먼저 렌즈 하나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여러 개의 렌즈를 복잡하게 늘어놓을 필요가 없다. 또한 소프트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형틀만 바꾸면 중형 및 ... ...
100m를 단번에 오르는 에스컬레이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번에 처음 제안된 건 아니다. 하지만 데이비드가 선보인 에스컬레이터는 세계
최초
로 연속 나선형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금까지 제안된 나선형 에스컬레이터는 일정 높이마다 기존 에스컬레이터처럼 걷는 구간을 두고 에스컬레이터가 이어진다. 따라서 구성이 복잡하고 무거운 구조물을 지지해야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미국의 과학자 휴 뢰브러는 케임브리지 행동연구센터와 공동으로 튜링검사를 통과하는
최초
의 컴퓨터 개발자에게 10만 달러(약 1억 1000만 원)의 상금과 금메달을 주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상금의 주인공은 나타나지 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컴퓨터의 무한도전 퀴즈대결서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실제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지난해 9월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한귀정 박사팀이 세계
최초
로 개발한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 덕분이다. 이 기술로 만든 떡은 시간이 오래 지나거나 냉장고에 보관해도 단단해지지 않고 말랑말랑하다. 냉동실에 꽁꽁 얼렸다가 녹여도 마치 방금 뽑아낸 것처럼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