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물건을 이용해 점토판에 기록을 남겼다. 이때 갈대나 나뭇가지 끝을 다듬어 만든 것을
최초
의 연필로 볼 수 있다. 요즘처럼 흑연을 사용한 연필은 1565년 영국에서 탄생했다. 1564년 흑연 광산이 발견되자, 이듬해 바로 흑연 막대에 실을 감거나 나무에 흑연막대를 끼워 만든 연필이 등장한 것이다 ... ...
추운 겨울 따뜻하게 보내려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다음 피부의 단위 면적당 열이 손실되는 양을 계산해 체감온도를 구하는 식을 만들었다.
최초
의 체감온도 계산식이다.사이플과 파셀이 만든 체감온도 계산식은 당시 겨울철 야외활동과 군 작전 훈련에 널리 쓰였다. 그러나 물이 어는 것을 피부의 열손실에 적용했다는 점과 이 계산식으로 ... ...
아름다운 수학 선율, 노력하는 자만이 느낄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몰두했다. 특히 태양과 지구, 달의 움직임에 관심을 뒀다.3체 문제에 대해 관심을 둔
최초
의 수학자는 프랑스의 앙리 푸앵카레다. 목성이 태양 주위를 5번 공전하는 동안 토성은 태양 주위를 2번 공전한다. 즉 두 행성은 60년마다 이전과 같은 위치에 놓인다. 그런데 푸앵카레는 두 행성은 서로에게 ... ...
Part 2.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닮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아직까지 신 박사가 유일하다. 만 26세의 나이에 KAIST 교수가 된 최서현 교수는 여학생
최초
의 IMO 금메달 수상자다. 최 교수는 고등학교 2, 3학년 때 국내 1위의 성적으로 IMO에 참가해 2년 연속으로 금메달을 받았다. 앞서 소개한 한린 박사도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이처럼 수학올림피아드는 수학에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접기에 활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2009년 7월 인하대 기계공학과 김재환 교수팀은 세계
최초
로 ‘종이 반도체’를 개발해 국제학술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발표했다. 종이의 성분인 셀룰로오스에 탄소나노튜브를 층층이 섞으면 전도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김 교수팀은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현지 단독 인터뷰“독창적 발견해야 생리의학상 받아”“노벨 생리의학상은 누가
최초
로 발견했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노벨 물리학상이나 화학상이 새로운 물질이나 원리를 발명한 사람에게 상을 주는 경향이 강한 것과는 대조적이죠.”12월 8일 노벨로(路) 5번가에 자리 잡은 사무실에서 만난 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1세계에서 가장 얇은 제올라이트 개발세계
최초
로 2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 두께의 판(版)형 제올라이트 합성에 성공한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황당맨이 만났다. 유 교수는 2007년 국가과학자로 선정된 제올라이트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끓는 돌’로 불리는 제올라이트는 ... ...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역시 미국이다. 현재 모두 11척의 원자력 항공모함을 운영 중이다.11척 중 1척은 세계
최초
의 원자력 항공모함인 ‘엔터프라이즈’호. 나머지 10척은 모두 크기나 구조면에서 비슷하다. 1975년 취역한 ‘니미츠’호를 기본으로 구조를 개선해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런 10대의 항공모함을 모두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계속 거듭하면 넘어지지 않고 앞으로 걸어 나갈 수 있습니다. 2000년 일본 혼다자동차가
최초
의 두발로봇 ‘아시모’를 발표한 이후 로봇 휴보, 일본산업기술연구소(AIST)의 ‘HRP 시리즈’, 도요타 자동차의 ‘파트너’ 등 수많은 두발로봇이 등장했습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어느 곳이나 예외 ... ...
[교과연계수업] 추운 겨울, 체감온도 높이려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다음 피부의 단위 면적당 열이 손실되는 양을 계산해 체감온도를 구하는 식을 만들었다.
최초
의 체감온도 계산식이다.사이플과 파셀이 만든 체감온도 계산식은 당시 겨울철 야외활동과 군 작전 훈련에 널리 쓰였다. 그러나 물이 어는 것을 피부의 열손실에 적용했다는 점과 이 계산식으로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