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크기"(으)로 총 2,3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리 와 이리 와”좀비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앞을 향해 돌면서 비행기처럼 빠르게 날아가지요. 1시간에 무려 150㎞나 갈 수 있어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원래 계획한 항공기의 40% 크기인 이 무인항공기를 계속 연구해 2009년에는 시속 500㎞까지 내도록 만들 계획이랍니다. 수직으로 뜨고 내리는 무인항공기는 활주로가 필요 없어요. 우리나라같이 산이 많은 지역에 유리하죠. 앞으로 적을 살 ...
- 순록들의 크리스마스 선물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골인과 동시에 전광판에 불이 들어오고 실감나는 관중의 환호성까지 들리지요. {BIMG_R15}젤리피쉬 크리스마스 버전 한국 엑시모테크, 크기 : 21×20㎝ 올해 크리스마스는 램프가 반짝이는 예쁜 수족관으로 거실을 장식해 보세요. 여과기, 산소공급기, 온도계, 조명이 하나로 합쳐진 일체형 수족관인 젤리피쉬는 10분에 한 번씩 자동으로 산소를 ...
- 블록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만들 때 사용된단다. 난 처음엔 작은 알갱이 상태야. 이 알갱이들을 높은 온도에 녹여 틀로 찍어 내지. 단순해 보이지만 각 블록의 크기 차이가 2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을 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진단다. *ABS : 합성수지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의 줄인 말이다. [소제시작]블록+과학=★[소제끝] 몇 개의 블록만 있으면 집을 지을 수도 있 ...
- 2020년 한국도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낮에는 종이 울려 밤과 낮을 구분할 수 있어요. 또 매 시간마다 그 시간을 상징하는 동물 인형이 상자 속에서 튀어나온답니다. 구슬의 크기가 1mm만 틀려도 정확한 시간을 알려 줄 수 없을 정도로 세심하고 과학적인 시계죠. 앞으로 계획은 무엇인가요? 11월 28일부터 서울 경복궁 내 고궁박물관 지하 1층 전시관에서 시간을 알려 주는 일을 할 거 ...
- 카이스트 유룡 교수 국가과학자 선정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화학과의 유룡 교수가 두 번째‘국가과학자’에 선정됐어요. 유룡 교수는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크기인 아주 작은 거푸집을 이용해 신기한 나노 물질을 만든 과학자예요. 과학기술부는 유 교수에게 매년 15억 원씩 3년간 4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했어요. 유 교수는 나노 물질 중에서 구멍이 많이 난 ‘나노 다공성 막대와 튜브’를 개발했어 ...
- [천기누설 날름 도사]'혀'씨의 고민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맛은 컴퓨터에 저장되고, 저장된 맛은 새로 측정한 맛과 비교할 수 있다고 하는구나. 교수님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더욱 더 작은 크기의 전자혀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연구하고 계신다! 앞으로 전자혀는 음료수 공장에서 맛을 감별하는 데 쓸 수도 있고, 전자혀를 대기만 하면 맛을 말해 주는 맛 바코드도 개발할 수 있지. 또한 몸에 나쁜 물질을 찾는 데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1)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뜨겁습니다. {BIMG_r21}우리나라도 이 분야에 뛰어난 기술을 가졌어요. 지난 2005 국제초소형비행체 국제경연대회에서 47g에 12.8㎝의 크기의 건국대 배트윙이 600m 떨어진 물체의 동영상을 찍어 신속하게 전달하는 신기록을 세워 우승했답니다. 2006년엔 건국대 초소형비행체 개발팀이 새 모방 비행체 부문에서 세계 2위를 했죠. 하늘을 ...
- 태왕사신기-사신의 부활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다음엔 스케치한 대로 사신의 모형을 만든다. 이러한 모형을 ‘크리처’라고 한다. 모형이 완성되면 생김새에 따른 비율이나 부피, 크기 등을 컴퓨터 데이터로 만들어 형태를 완성하는데, 이 과정이 ‘3D 모델링’이다. 형태가 완성되면 거칠거나 매끄러운 질감과 색깔을 입히고, 움직임을 만드는 애니메이션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하면 생생하게 살아 움직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1)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꿈도 뇌의 작용이란다. 뇌는 우리 몸과 마음을 조종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야. 말캉말캉 분홍이 뇌는 우리 주먹 두 개를 붙여 놓은 크기야. 생각보다 작지? 생김새는 호두처럼 많은 주름을 가진 둥그런 모양이야. 뇌를 노란색이라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많은데 우리 머릿속에 살아 있는 뇌는 피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분홍빛을 띠고 있단다. 게다가 젤리처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수 있지. 나는 세상이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원자론을 한 걸음 더 발전시켰거든. 그 결과 같은 원소의 원자는 크기, 모양, 무게가 똑같지만 다른 원소끼리는 서로 다르다는 이론을 세웠지. 즉, 산소와 이산화탄소 원자는 서로 다르다는 얘기야. 게다가 원소를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을 생각해 냈네. 아이디어가 뛰어나지 않은가?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