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크기"(으)로 총 2,3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0731
- 이유는 아주 싱거워. 작은 물방울들이 뭉쳐 커지면 더 이상 떠 있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지는 거야. 구름 속의 물방울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둥둥 떠 있으면서 이리저리 움직인단다. 이 때 서로 부딪히면서 계속 합쳐지면 더 이상 떠 있을 수 없을 만큼 커져 비가 되는 거지. 작은 얼음 결정으로 떠 있는 구름도 주변의 수증기가 얼음에 달라붙으면 얼음 ...
- 우주에 뜬 풍선 호텔어린이과학동아 l20070712
- 박사는 최근 ‘하이드로젤’이라는 물질을 개발했어요. 이 물질은 물을 흡수하면 1000배의 크기로 부풀어 올라요. 알약 한 알 크기라도 뱃속에 들어가면 크게 부풀어 올라서 배가 꽉 찬 느낌이 들죠. 연구팀이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는데 오전 11시에 이 약을 먹으면 저녁 6시까지도 배가 고프지 않았대요. 이 약이 위를 거쳐 소화돼 ...
- 점점 커지는 구덩이는 외계인의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070629
- 아니면 불가능한 일이라니까요!” 쌍둥이 형제의 말에 따르면 이 마을 곳곳에 이런 구덩이가 있단다. 큰 것도 있고, 좀 작은 것도 있고 크기는 다양하다고. “백문이 불여일견! 현장에 가서 눈으로 직접 확인해 봐야겠군요.” 닥터고글이 쌍둥이 형제의 안내를 받아 찾아간 곳에서는 크고 작은 구덩이들을 볼 수 있었다. “외계인의 흔적이란 증거는 또 있어 ...
- 착한 줄기세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0629
- 행성을 이렇게 외웠죠. 마지막 행성이었던 명왕성이 지난해 행성의 지위에서 탈락했다는 건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라면 알 거예요. 크기가 작고 태양을 도는 공전 궤도가 다른 행성과 많이 달랐기 때문이죠. 명왕성은 행성에서 탈락한 뒤 행성과 소행성의 중간 단계인 왜행성이 됐어요. 그 때는 그나마 가장 큰 왜행성이었죠. 그런데 그 명예마저도 잃게 됐어 ...
- 넷째 손가락 길면 수학 잘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070613
- 만들 수 있는데 이 때 더 큰 에너지가 나온다. 핵융합 발전은 이 때 나오는 에너지로 전기를 만드는 것이다. 에너지의 양이 워낙 크기 때문에 핵융합 발전에 성공하면 인류는 앞으로 에너지 걱정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핵융합을 이용하면 바닷물 1L로 석유 300L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러시아, EU, 일본 등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0613
- 하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걸리는 기생충이란다. 나에 대해 알려 줄까? 나의 집 이름처럼 난 간에 살아. 1~2.5㎝ 크기인 나는 간에서 담즙의 통로인 담관에 산단다. 뭘 먹고 사냐고? 난 온몸으로 영양분을 흡수해. 담즙의 영양을 조금 뺏어 먹지. 어떻게 간에 들어왔냐고? 내가 알을 낳으면 담즙에 섞여 소화기관으로 가. 알은 거기서 소 ...
- 빛의 기원 파헤칠 새 우주망원경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바꾸는 방법도 개발하고 있대요. 아침에는 하얀 옷, 저녁에는 파란 옷을 만드는 거죠. *나노 입자 : 머리카락 굵기의 수천~수만 분의 1 크기인 아주 작은 알갱이. [소제시작]햇볕 쬐면 하루가 길어져요[소제끝] 하루가 24시간인 게 안타까운 친구들에게 희소식이 있어요. 햇볕을 쬐면 하루가 1시간쯤 길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실제로 하루가 길 ...
- 일본까지 날아간 현수막?!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사실 풍선을 하늘 높이 띄우는 데는 헬륨보다 수소가 먼저 쓰였어요. 하지만 수소는 공기 중에 있는 산소와 결합해서 폭발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1920년대 이후에는 잘 쓰이지 않고 있죠.” 헬륨은 애드벌룬뿐만 아니라 사람을 태우는 기구나 거대한 비행선 등을 띄우는 데에도 쓰이고 있다. “2001년엔 영국 스턴트맨인 이안 애시풀이 헬륨 풍선 60 ...
- 상상이 현실로~ 얍! 가상현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있어야 하는 거지. 그래서 컴퓨터 그래픽의 기본은 좌표값이라고 할 수 있어. 가로, 세로, 높이를 공간에 표시하는 거야. 그래야 크기, 부피, 위치 등을 표시할 수가 있거든. 우리는 눈으로 보면 입체인 줄 알지만 컴퓨터는 그렇지 않아. 모든 데이터를 0과 1이라는 숫자의 조합으로 인식해서 처리하거든. 그러니까 둥그런 내 얼굴도 어여쁜 피오나도 ...
- 한국인 뇌지도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0511
- 보았는데요. 행성 : 지금까지 태양계 바깥에서 발견된 행성은 대개 ‘목성형 행성’이에요. 목성처럼 기체로 이뤄져 있다는 뜻이죠. 크기도 너무 크고 기온도 낮아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요. 기자 : 앞으로 이 행성에서 외계인을 만날 수도 있겠죠? 행성 : 그건…. 저는 지구에서 너무 멀어요. 20.5광년이나 떨어져 있거든요. 빛이 2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