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뉴스
"
미디어
"(으)로 총 2,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콜릿에 버무린 전갈 요리’
2016.09.19
팝뉴스 제공 ‘초콜릿을 바른 전갈’이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화제의 음식으로 떠올랐다. 태국의 한 업체가 온라인 사이트에서 판매하고 있는데, 전갈은 먼저 오븐에 굽는다고 한다. 그 다음 맛있는 다크 초콜릿을 그 위에 부어 굳힌다. 전갈의 바삭함과 초콜릿의 달콤함이 아주 멋진 조화를 ... ...
[캐치 업! 구글 (13)] 이제 구글이 도시 혁신에도 도전하나
2016.09.19
세계 광고 차단 소프트웨어 사용자 증가 추이 - Adobe 제공 이는 광고에 의존하는
미디어
, 소비재 기업은 물론이고 온라인 광고가 최대 수익 모델인 구글에 직접적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광고 차단 소프트웨어의 확산을 막기 위해 사용자의 짜증을 일으키는 저품질 광고를 선제적으로 줄이려는 ... ...
니모를 찾아서? 멸종 위기의 니모 구하기!
2016.09.17
흰동가리는 말미잘에게로 가 그 촉수 사이에 몸을 숨길 수 있기 때문이지요. 위키
미디어
제공 또한 말미잘은 포식자를 피해 도망 온 흰동가리로 인해 앉은(?) 자리에서 먹잇감을 구할 수 있는데요. 바로 말미잘의 촉수에 있는 자포(刺胞)에서 테트라민이라는 독이 발사돼 흰동가리를 쫓아온 ... ...
모델처럼 날씬해야 하나요? ”우리 모두 미인“
2016.09.17
건가요? 피부가 하얘야 미인가요? 우리는 왜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을까요? TV나 영화 등
미디어
로부터 그렇게 교육 받았기 때문에 그렇게 믿는 것은 아닐까요? 영국 모델 찰리 하워드는 마른 몸매였습니다. 그런데 작년 너무 살쪘다는 이유로 모델 에이전시에서 퇴출되었습니다. 그녀는 최근 몇몇 ... ...
악어 만지면서 노는 아기
2016.09.17
팝뉴스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네티즌들을 깜짝 놀라게 만든 이미지다. 어린 아기가 쓰다듬는 것은 다름 아니라 악어다. 악어의 딱딱한 등이 신기한 듯 또는 귀여운 듯 어루만진다. 주변에는 가족들과 악어 조련사가 함께 있는 것 같다. 너무 위험하지 않을까. 악어가 꼬리를 휘두르기만 해도 ... ...
[캐치 업! 페이스북 (12)] 벌거벗은 소녀의 사진이 삭제된 이유
2016.09.16
이제 그 일은 페이스북이 가장 많이 하고 있습니다. 미국 성인의 40%는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에서 뉴스를 접합니다. 언론사들은 페이스북에 콘텐츠를 공급하는 납품 업자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세계 17억명의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페이스북의 로직에 따라 보여지는 콘텐츠만 봅니다. 아담 모세리 ... ...
코끼리가 여성을 번쩍 ‘깜짝 사진’
2016.09.16
팝뉴스 제공 인스타그램 등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화제가 된 사진이다. 바다에서 코끼리가 엄청난 묘기를 부린다. 여성을 코에 올린 채 들어올렸다. 서커스 현장이 아니면 보기 힘든 장면인 것 같다. 사진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출신의 22살 청년 라파 한센이 공개한 것이다. 여행과 모험 그리고 ... ...
‘주유소에서 만난 방울뱀’
2016.09.15
무심코 저 주유기를 쥐었다면? 상상하기 싫은 일이 벌어졌을 것이다. 사진은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며 화제를 낳았다. 네티즌들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라면 주유기 주변을 잘 살펴야 한다고 서로 독려하고 주의를 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추석에 읽는 수학] 한복바지 속에 OOOO 있다!
2016.09.14
띠도 2개가 있는 셈입니다. ● 한복바지에는 클라인 병도 있어! 위키
미디어
제공 한복바지에는 뫼비우스 띠뿐만 아니라 위 그림과 같은 '클라인 병’이라고 부르는 3차원 구조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뫼비우스 띠가 앞뒤를 구별할 수 없는 2차원 구조물이라면, 클라인병은 안팍을 ... ...
[경주지진] 우리 집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할까?
2016.09.13
0만 넘어도 수평진동에 쉽게 무너집니다. 지진으로 초토화된 네팔 현지의 모습 - 위키
미디어
제공 당시 네팔 지진 규모가 7.8이었는데 전문가들은 같은 수준의 지진이 일본에 일어났다면 이렇게 희생자가 많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대부분 건물이 내진 설계가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