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뉴스
"
미디어
"(으)로 총 2,868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주지진]한반도에 60여개 있다는 ‘활성단층’, 뭘까요?
2016.09.13
2cm나 이동했다고 합니다. 2016년 4월 19일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 위키
미디어
제공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10호) 활성 단층은 예측이 어려운 지진에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합니다. 활성단층에 대한 국내 연구도 최근 활발하게 ... ...
경북 지역 12일 오후 8시 32분 규모 5.8 지진 추가 발생(2보)
동아사이언스
l
2016.09.12
시각 카카오톡 메신저가 불통돼 스마트폰 유저들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다른 소셜
미디어
를 통해 실시간으로 소식을 전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 12기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번 지진과 관련해 “피해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특별한 피해 상황은 없다고 밝혔다. ... ...
사람인가? 비단결 같은 흑발 견공 ‘웃음’
2016.09.10
팝뉴스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주목받는 화제의 견공이다. 사진을 처음 본 순간 잠시 헷갈린다. 이게 무슨 사진일까. 긴 머리 여성을 촬영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그 검고 긴 “머리카락”을 갖고 있는 것은 사람이 아니라 개다. 개의 털이 사람의 머리카락처럼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 ...
집에 숨어 있던 거대 보아 뱀
2016.09.09
보였다. 천장에 숨어 있는 뱀은 달아나지도 않는다.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큰 주목을 받는 사진은 가정집에 침입(?)한 뱀과 사람들의 사투를 보여주고 있다. 사람들은 뱀의 꼬리를 잡아당긴다. 천장에서 끌어내려고 안간힘을 다했다. 뱀도 버틴다. 천장이 무너지도록 강하게 ... ...
[캐치 업! 애플 (11)] 한눈 요약...아이폰7 이렇게 나온다?
2016.09.07
아이폰과 애플 워치 신모델이 새로 발표되리라는 예상이 대부분입니다. 9월 7일 애플
미디어
행사 개최를 알리는 초대장 - 애플 제공 이미 애플 '아이폰7'에 대한 루머는 수없이 나왔고, [캐치 업!] 꼭지에서도 많이 소개해 드렸습니다. 새 아이폰에 대한 시장의 예상, 한번만 더 간단히 정리하고 ... ...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구글의 검색 엔진, 어떻게 작동할까?
2016.09.06
회사를 다닌 후에 현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연구센터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미디어
로서 소프트웨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 ...
[캐치 업! 구글 (11)] 구글 폰 새 브랜드는 픽셀?
2016.09.05
레퍼런스 단말기에 어떤 브랜드가 붙을 지는 미지수입니다. 그런 가운데 내달 4일 구글이
미디어
행사를 열고 '픽셀' 브랜드의 새 단말기를 내놓으리라는 예측도 나옵니다. 이는 구글 단말기 전략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안드로이드 핵심 기능에 충실한 기존 넥서스 제품과 ... ...
“지식 공유하자는 게 죄인가…전 세계 주요논문 모두 담을 것”
2016.09.04
엘바키얀은 2011년 ‘사이허브’를 만들어 유료 논문을 무료로 공개하고 있다. - 위키
미디어
제공 ‘논문 해적질’은 사이허브가 처음이 아니다. 2004년 문을 연 웹사이트 ‘라이브러리닷엔유’(Library.nu)는 전자 학술서적 40만여 권을 불법 공유하다 출판사 17곳으로부터 집단소송을 당해 2012년 ... ...
“논문 무료로 공개하라”…세계는 지금 ‘오픈 액세스’ 혁명
2016.09.04
284명(52%)이 “국가 연구비로 수행한 과학논문은 무료로 공개해야 한다”고 답했다. 위키
미디어
제공 ● ‘구독료 줄이자’ 컨소시엄 꾸려 공동구매 나서 법적으로 출판사의 권리를 인정해야만 한다면, 그 대안으로 ‘공동구매’ 효과를 노리는 경우도 많다. 대학이나 연구기관이 모여 ... ...
‘이너 스페이스’의 마이크로 로봇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16.09.03
이 같은 노력의 결과가 실질적으로 치료에 활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인터넷과 매스
미디어
를 통해 아무리 떠들썩하게 알려진 신약이나 치료법이라도 그것이 임상을 거쳐 대부분의 의사들이 쓸 수 있도록 확산될 때까지는,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자들과 그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