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영재들은 왜 갖고 노는 걸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풀 때 우리는 답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잖아. 하지만 수학영재들은 이 속에서 수학적
원리
를 발견하는 데 열중한대. 믿기지 않는다고? 예를 들어 설명해 줄게.다음은 어떤 건물의 건축도면이야. 모든 벽에는 반드시 문이 하나씩 있다고 할 때 모든 문을 한 번씩 지나갈 수 있는 도면은 어떤 걸까? 도면 ... ...
통계 휘어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럴 때일수록 문제를 대충 풀고 넘어가려 하지 말고, 기초를 쌓기 위해 과정과
원리
를 바탕으로 개념을 바로 이해할 것을 권합니다.또한 반드시 ‘왜 틀렸는지’ ‘어디서부터 틀렸는지’ ‘개념은 정확히 알고 있는지’ 처럼 문제를 틀린원인을 가장 먼저 파악할 것! 꼭 오답노트를 만들지 ... ...
수학으로 변신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완벽한 헤드라이트 역할을 감당할 수 있게 되니 감탄하지 않을 수없다.마지막으로 같은
원리
로 제작된 다리의 윗부분을 살펴보자. 눈치 빠른 독자들은 벌써 알아챘겠지만, 그렇다. 사다리꼴이 그려진 다리 부분의 윗면은 손등과 넓이가 같다. 이 부분은 로봇이 트럭으로 변신할 때 헤드라이트 바로 ...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바뀌는 것이다. 새 주소는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수학적
원리
를 담고 있다. 새 주소의
원리
를 알아보자.새 주소 쓰면 모르는 집도 쉽게 찾아 “쪽지에 적힌 주소로 빨리 찾아오세요.”같은 미션을 받은 호동이와 승기는 자신의 쪽지를펼쳐 봤다. 호동이의 쪽지에는‘서울 중구 소망동 146번지’라는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 서이초등학교 “색종이로'무게중심 새'를 만들었어요!”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잡기 실험에 성공할 수 있었답니다.여러분도 기사를 통해 새롭게 배우고 싶은 수학
원리
가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직접 만들며 체험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협력하는 융복합연구의 대표적인 예인 셈이다. 수학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수학적인
원리
를 이해해야 하고, 수학자는 다른 학문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이렇게 되면 시간도 많이 들고 그만큼 손실도 커진다.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응용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 ...
브라키오사우루스 체온 사람과 비슷했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체온에 따라 이빨의 법랑질을 이루는 무기결정(미네랄)의 동위원소 비율이 다르다는
원리
를 이용했다. 즉 법랑질 미네랄의 탄산염의 동위원소 탄소(13C)와 산소(18O)의 비율을 측정하면 당시 공룡 구강의 온도를 추측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오차범위는 1℃로 매우 정확하다.몸길이 28m, 몸무게 50t에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실제 수업에서 학생이 수학을 체험하면서 수학적
원리
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수학체험교실도 있다. 앞으로 이런 기회가 많아질 예정이므로 관심을 갖고 참가하면 수학일기를 쓰는 데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수학일기는 수학의 목적 중 ... ...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연구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가장 아름답고 완결적인
원리
가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DNA의 구조를 보면 참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생명 분야의 새로운 연구 결과를 보면 정말 경이롭고 신비롭습니다. 연구원에게 연구를 하다 막히면 생명 분야의 연구를 볼 것을 권합니다.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인식한다. 사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생물도 다른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큰
원리
가 있고 흐름을 관통하는 맥이 있다. 단편적인 지식과 생물학적 현상을 잘 암기하고 있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대학에서 원하는 학생은 생명현상을 종합적인 틀에서 관찰하고 예측할 수 있는 학생이다. 무조건적인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