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과학동아 l2000년 04호
- 궤도를 도는 행성을 내행성, 그리고 밖에 있는 궤도를 도는 행성을 외행성이라 한다. 천문학자들은 1976년과 1980년대 사이에 태양계의 행성 가운데 화성의 바깥쪽에 있는 5개의 외행성, 즉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이 비스듬한 일직선상에 놓인다는 것을 알게됐고 이때에 탐사선을 ...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과학동아 l2000년 04호
- 중심에 밝은 별이 없어 십자가보다도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보인다. 별들의 이름은 천문학자 버릿이 십자가를 뜻하는 크룩스(Crux)에 알파(α), 베타(β)를 붙여 아크룩스(Acrux), 베크룩스(Becrux) 등으로 이름지었다. 알파별 아크룩스는 0.77등급으로 온하늘에서 14번째로 밝은 별이고, 베크룩스는 1.2 ... ...
- 제8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과학동아 l2000년 04호
- 폭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상식은 4월 중순 천문연구원에서 있을 계획.천문연구원은 해마다 열기를 더하는 공모전에 계속해서 신인들이 등장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 ...
-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원 이론과학동아 l2000년 04호
- 의해 알마게스트(가장 위대한 것이라는 뜻)라 불리며 중세 전체를 통해서도 천문학의 경전으로 군림했다.프톨레마이오스는 천동설의 주창자로 알려져 있지만,그가 독자적으로 천동설을 만들어 낸 것은 아니며,그 당시 지배적이던 우주관을 그가 종합적으로 체계화시켜 확립한 것이다 ... ...
- 3. 평면나라에서 공간나라로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다른 문명에서는 현실의 필요성에 의해 기하학이 발전했다.예를 들어 구장산술을 보면 천문관측이나 건축을 위해 기하학을 연구했음이 나타난다.기하학의 연구 결과는 실생활에 드러나기 마련인데 그 중 재미있는 것이 동서양에서 차이를 보이는 황금비다.서양은 1:(1+$\sqrt{5}$)/2≒1:1.6를 ... ...
- 긴급점검 사이버 교육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세계 방방곡곡에 있는 친구들과 함께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뉴욕에 있는 유명한 천문학교수가 진행하는 ‘우주의 진화’에 대한 강의다. 컴퓨터에는 카메라와 마이크가 설치돼 있어, 교수와 친구들의 얼굴과 행동을 볼 수 있다. 또한 교수가 내준 문제를 친구들과 함께 대화하면서 서로 의견을 ...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더 밝은 것인지 정량적으로 알지 못한 채, 그가 정한 등급을 사용해 왔다. 1865년 영국의 천문학자 포그슨은 처음으로 히파르코스가 만든 별의 등급을 정량화했다. 포그슨은 히파르코스가 정한 1등급의 별이 6등급의 별에 비해 평균적으로 1백배 밝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5등급의 차이가 1백배의 ...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삼각형을 이루는데,이것을 봄의 대곡선에 견주어 '봄의삼각형'으로 부른다.이달의 천문현상3월8일-10일 저녁 화성,목성,토성을 스치는 초승달이달 초순 저녁 서쪽 하늘을 주목해보자.서쪽 지평선에서 차례로,화성(1.3등급),목성(-2.1등급),토성(0.1등급)등 3개의 행성이 거의 직선상으로 나란히 서있고, ... ...
- 우주도 여성 차별하나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이 분야에 종사하는 남성학자가 수백명인데 비해 여성은 겨우 3명뿐이라는 사실은 천문학 분야뿐 아니라 전 과학분야에서 여성차별의 현주소를 말해주고 있다 ...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쓰기에는 너무나 불편한 시계다.정확하기는 하지만 일상적으로 사용하는데 제약이 많은 천문시계와 더불어 인류가 가장 오래도록 사용해온 시계가 물시계다. 수도꼭지에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물을 보면 그 간격이 매우 일정하다. 늘 일정한 압력으로 물을 흘려보낸다면 물의 양은 흐른 시간에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