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는 얼마나 클까?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셈인지 그 후의 사람들로부터 무시되고 잊혀지고 말았다. 기원전 100년 경 그리스의 천문학자 포시도니우스는 비슷한 방법으로 지구의 둘레가 2만8천8백km라는 결론을 얻었고, 실제보다 훨씬 작은 이 값을 오랫동안 사람들이 믿었다. 이로 인해 1600년이 지난 후 콜럼버스는 지구를 돌아 인도에 가기가 ...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산맥에는 지구상의 유명한 지명이나 과학자, 철학자들의 이름이 붙어있다. 예수회 천문학자 조반니 리치올리(1598-1671)가 자신이 작성한 달 지도 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이 시초였다.달의 관측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지구 대기가 얼마나 안정돼 있는냐 하는 것이다. 하늘이 맑아도 별이 자주 ...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표준시를 쓰기 때문이지 해시계가 부정확해서가 아니다. 잘 알다시피 세계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을 본초자오선으로 하는 세계 표준시를 쓰고 있다. 경도 15도에 한시간 간격으로 세계 각국이 자신의 경도에 해당하는 표준시를 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동경 135도선에 표준시를 ...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과학동아 l2000년 01호
- 혜성(1999S4)이 맨눈에 보일 만큼 밝아진다. 개기월식과 함께 올해 가장 주목을 받을 천문현상이 1999S4 혜성 리니어(LINEAR)의 등장이다. 리니어혜성은 지구 접근 소행성의 조기 발견 탐색 연구로 많은 소행성과 신혜성을 발견하고 있는 미국 뉴멕시코주에 있는 링컨 관측소에서 지난해 9월 27일 발견한 ...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우주 한 가운데 서있는 새로운 인간에 대한 개념을 제시했다. 즉 원근법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주장했던 천동설의 연장이자 주체적 시각에서 세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인본주의의 승리를 표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예술가이자 과학자를 꼽는다면 ...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과학동아 l2000년 01호
- 형태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예로부터 12라는 숫자는 우주와 깊은 관련성을 갖고 있다. 천문학에서 말하는 황도 십이궁과 우리의 십이지가 그 예다. 플라톤의 이런 주장 때문에 정다면체는 ‘플라톤의 입체도형’이라는 별명을 갖게 됐다. 플라톤의 이론은 현대적인 시각에서 보면 기묘하고 ...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과학동아 l2000년 01호
- 때문에 생긴다. 밤하늘의 구역정리행성이나 달,태양의 움직임을 쫓아가야 했던 고대의 천문학자들에게 무질서하게 흩어진 빛의 점들은 어떤 식으로든 알기 쉽게 정리되어야 했을 것이다.그래야 다음날 관측이 쉬워지고 다른 사람에게 그 위치를 설명하기도 쉬웠을 것이다.그래서 밤하늘을 펼쳐 ... ...
- OZ 풀코스 별자리여행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우주,오!우주를 뜻하는 OZ가 제목에 들어가 있는 이유를 책장을 넘기면서 깨닫게 된다.천문학과 재미,그리고 미술적 아름다움이 조화를 이룬 두권의 책이 별이 쏟아지는 밤,독자들의 품안에서 새로운 의미로 다가설 것이다 ... ...
- Y2K스트레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에서 제공하는 별에 관한 정보. 오늘과 이달의 천문예보, 각종 천문뉴스, 세계의 천문대, 천문 유적지, 별자리 등이 자세하게 소개돼 있다.워바이블(go WARBIBLE) : 머나먼 우주에서 찾아온 침략군과 펼치는 세계 최초의 SF 온라인 그래픽 멀티플레이어 게임.생생 애니메이션(go SSANI) : 국내에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것은 획기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의 김봉규 박사는 “우리나라 천문학 연구에서 커다란 한걸음을 내딛은 일”이라고 환영했다. 세계의 과학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나아가는 우리나라 젊은 연구자들의 다음 목적지는 어디일지 자못 기대가 된다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