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정말 살아있는 느낌이었죠.”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눈앞에 펼쳐진 끝없는 설원과
하늘
색에 한동안 그는 눈을 뗄 수가 없었다고 한다. 우연한 기회로 들어선 ‘얼음나라’의 좋은 첫 인상에 영하 20℃ 살을 에는 추위는 순식간에 잦아들었다.그 뒤 김 소장은 남극의 홍보대사로, 최초의 남극기지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또는 다이얼게이지를 갖춘 마이크로미터 깊이게이지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봄철 남쪽
하늘
에 보이는 별자리, 중국에서는 28수(宿)의 마지막 수인 진(軫)으로 불렸다처녀자리 · 바다뱀자리 · 컵자리 등에 둘러싸인 5개의 별이 이루는 비교적 작은 별자리이다 비휘발성 용질(溶質)을 녹인 용매의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위치를 찾았으면 중간 배율 정도로 해서 망원경을 들여다보자. 주의 깊게 살펴보면 파란
하늘
을 배경으로 희미하지만 하얗고 동그란 작은 점이 보일 것이다. 그것이 바로 시리우스다. 대낮에도 별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이 한편으로 참 신기하지 않은가? 백색왜성 | 표면온도가 4만~ 10만K인 청백색 별. ... ...
하늘
을 향한 인류의 도전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비행’실을 찾으면 인류가 수천년 전부터 신화나 전설 속에서 공상의 날개를 이용해
하늘
을 날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군용기 발달사 코너에서는 세계대전 및 걸프전 참전 전투기, 국내 공군의 주력 전투기, 그리고 미래의 최신예 전투기 등을 만날 수 있다. 항공발달사에서는 1500년부터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팔다리가 쑤신다. 비가 오려나?” 할머니가 이렇게 말씀하시면
하늘
은 마치 할머니와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어김없이 비를 뿌린다. 할머니에게는 ‘팔다리가 편안한 정도’가 날씨를 가늠하는데 이용되는 변수인 셈이다. 기상학자들은 할머니보다 훨씬 많은 변수를 모아 날씨를 예측한다. 온도와 ... ...
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다 헤일 듯합니다.'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이 저절로 입 속을 맴도는 계절이다. 저
하늘
멀리, 지구에서 수십억, 수백억광년 떨어진 우주에는 얼마나 많은 별이 있을까. 그런데 여기 눈에 보이는 별이 전부가 아니라며 137억년 전 우주의 자취를 쫓는 자들이 있다. 과거로 돌아갈 수는 없어도 볼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것”이라고 말했다. 찬드라가 등장하기 전까지 외부은하를 정밀하게 관측하기는 ‘
하늘
의 별 따기’였다. 이 때문에 우주에서 은하가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하는지 알 방법이 없었다.그는 “찬드라는 실제로 우주에서 먹고 먹히는 처절한 약육강식의 세계를 담아내 유명해졌다”고 덧붙였다.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욕망에 최초의 열기구를 띄운 지 222년. 이제 과학자들은 헬륨가스를 가득 채운 풍선을
하늘
끝까지 올려 보내 우주의 비밀을 캐내고 있다. 그 가장 앞선 곳에 서 있는 서 교수의 활약을 세계 천체물리학계는 커다란 기대감으로 바라보고 있다. 풍선 띄워 우주입자 정체 밝힌다 - 서은숙서 교수는 199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가운데 밝게 보이는 별은 주성, 가볍고 어두운 별은 동반성이라 불린다 1834년 베셀은
하늘
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동반성을 가지고 있음을 고유운동으로 밝혀냈다천체의 궤도가 원이 아닌 타원형으로 찌그러진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긴 반지름-짧은 반지름)/긴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알아내려면 관측하고자 하는 목표 천체 주변에 ‘가이드 별’이 꼭 필요하다. 레이저를
하늘
로 쏘아 올리면 빛이 고도 90km 층에서 반사돼 돌아오는데, 이 빛이 가이드 별을 대신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지난 1년간 레이저 가이드 별을 연구해 왔다. 그는 “이 레이저 기술은 군사적 응용이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