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월식도 주기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068이다. 즉 달 지름의 약 1/20 정도만이 가려지는 매우 미세한 월식이다. 이때 달은 동남쪽
하늘
고도 약 40도 지점에 위치하므로 관측에는 그리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식이 끝나는 시각은 21시 32분이며, 반영식까지 완전히 끝나는 시점은 23시 15분이다.반영식은 달이 가려진 형태가 나타나지 않고 단지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같을 때, 즉 액체상태의 반응물에 녹아서 역할을 수행하는 촉매를 균일계 촉매라 한다
하늘
에서 해와 달, 그리고 행성들이 움직여 다니는 길 근처에 있는 뚜렷한 별자리 28개를 28수(宿)라고 한다 그 중에서 봄철에 잘 보이는 별자리는 각·항·저·방·심·미·기 수(宿) 이렇게 일곱개인데 이들을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넓은 우주공간에 우리만이 유일한 생명체일까? 밤
하늘
에 무수히 떠있는 별들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져봤을 질문이다. 어떤 철학자는 말한다. 광활한 우주가 우리만의 것이라면 너무도 심한 공간의 낭비라고. 우리 태양계만 하더라도 지구를 포함해 9개 행성이 존재한다. 우주에 있는 별의 ... ...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마니아로 20년 넘게 청계천을 들락거린 양희섭씨도 변화를 실감한다. 시원하게 뚫린
하늘
도 그렇거니와 자주 살랑대는 바람에 청량감이 느껴진다는 것이다. 청계고가가 있었을 때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냥 느낌인지 실제인지 잘 모르겠지만 광교에서 중랑천까지 훤히 뚫린 모습만 봐도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두개의 원륜을 서로 직각으로 고정한 것으로 그 하나는 자오선 평면상에 다른 하나는
하늘
의 적도의 평면상에 놓여있다 자오선 고리 안쪽에는 제3의 원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됐는데, 그 회전축은 지축과 일치돼 있었다 이 기계는 천구 위에 보이는 천체들의 운동을 축소해 옮긴 것이다책과 같이 ... ...
원폭 60주년 '히로시마의 종이학'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1955년 10월 25일 사다코는 친구들이 접어준 356마리의 학과 함께 천마리의 학을 타고
하늘
나라로 날아갔다. 원폭 어린이상은 그래서 종이학을 이고 서있다. 그 곁에는 매년 전국에서 보내온 종이학들이 그의 환생을 기도하고 있다.히바쿠샤와 일본의 가면원폭 60주년을 맞아 평화를 염원하는 종이학 ... ...
소음 없는 비행기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사람들에게 잘 들리지 않는다.비행기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폴 콜린스 박사는 “승객들은
하늘
을 날 때 마치 극장에 있는 것처럼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콜린스 박사는 “이 비행기의 첫 디자인은 1년 안에 완성될 계획이며 10년 안에 테스트 모델이 만들어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이 프로젝트는 ... ...
개봉 박두! 복제 동물원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있다. 난공불락으로 여겨지던 개복제에 성공하기까지 황 교수와 그의 제자들은 어떻게
하늘
을 감동시켰을까. 앞으로 어떤 동물들이 복제돼 세상을 놀라게 할까. 혹시 인간이 복제될 가능성은 없을까. 스너피를 비롯한 동물 복제의 모든 궁금증과 전망을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성숙한 난자를 찾는 확률을 10%에서 90%로 높였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 이르기까지
하늘
을 감동시킬 정도로 노력한다는 황 교수와 제자들의 땀과 눈물이 필요했다.몇번의 시도만에 성공했나황 교수팀이 개 복제 연구를 시작한 것은 2002년 8월이었다. 2005년 4월 첫 복제 개가 태어났으니 2년 8개월 만의 ... ...
달하 노피곰 도댜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동지점에 위치하므로 상현달은 고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 9월초 무렵 저녁에 남쪽
하늘
을 쳐다보면 다른 때에 비해 더욱 낮은 위치에서 상현달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가을에는 달이 낮게 뜬다고 느낀다.달은 항상 한쪽 면만 보일까우리는 달의 앞면만을 본다. 이것은 달의 자전주기와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