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반대"(으)로 총 3,3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의 부엌] 생선전&동그랑땡2018.02.15
- 물방울이 되면서 통통 튀는 정도로, 약 120도 안팎입니다. 1분간 지진 다음, 뒤집어서 반대편을 1분 정도 지집니다.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익히면 표면이 갈색을 띠고 바삭바삭하게 지질 수 있지만 그만큼 빨리 탈 위험이 높습니다.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밀가루 옷에 기름이 너무 많이 스며듭니다. ... ...
- 컬링 선수의 빗자루질 뒤에 물리학이 있다 2018.02.12
- 작용하고, 빙판이 스톤을 받쳐 주는 힘이 아래에서 위로 가해집니다. 또 스톤이 움직이는 반대 방향으로 얼음과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해 스톤의 속도를 늦춰줍니다. 스톤이 감속할 때 회전의 바깥 가장자리 마찰력이 안쪽보다 줄어들면서 스톤이 처음의 경로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컬링 스톤은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진화심리학 삼국지 2018.02.11
- 통합 영국에서 시작한 인간 행동에 대한 진화적 연구는, 독일과 미국에서 정반대의 길로 뻗어 나갔습니다. 타고난 본성을 강조한 독일의 동물행동학과 양육 환경을 강조한 미국의 비교심리학은 오랫동안 학계의 주도권을 두고 경쟁했죠. 사실 이러한 학문적 배타성은 제 2차 대전 당시 적국이던 ... ...
- [그것이 궁금하드아③] 퍼블릭 vs 프라이빗 블록체인, 진짜 블록체인은 무엇?동아사이언스 l2018.02.09
- 있습니다(DPOS 방식). 퍼블릭 블록체인이 일부 프라이빗의 성격을 갖게 되는 겁니다. 반대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다수 집단이 참여하는 블록체인의 형태로 발달할 가능성이 큽니다. 최근 퍼블릭,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함께 이야기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입니다. 동등한 권력을 가진 여러 집단이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③] 로봇은 새로운 종(種)일까… ‘오토마타’동아사이언스 l2018.02.08
- 등의 변화를 기대하려면 적어도 수십~수백 년 이상의 막대한 시간이 소요된다. 반대로 로봇은 기계장치를 새롭게 만들거나 개조하면 그뿐이다. 늦어도 며칠이면 한 세대를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한 대만 개발에 성공하면 그 다음부터는 그 장점을 수많은 개체를 개조해 순식간에 나누어 주는 ... ...
- 파리지옥풀의 위험한 사랑을 도와주는 곤충은 누구?동아사이언스 l2018.02.07
- 먹히는 관계입니다. 잎을 먹히든, 꿀을 먹히든, 열매를 먹히든 말이지요. 그런데 간혹 그 반대 상황도 벌어집니다. 곤충을 잡아 먹는 식물이 있습니다. 흔히 식충 식물이라고 부르는 것들입니다. 끈끈이 주걱이나 파리지옥풀, 네펜데스 같은 식물이 대표적입니다. 그런데 이 중 파리지옥풀이 대체 ... ...
- 식재료 아트, 양배추로 만든 인간의 뇌팝뉴스 l2018.02.07
- 반전이다. 보통은 팝콘을 더 편하게 삼키기 위해 콜라를 마신다. 댄 크레투의 작품에서는 반대다. 콜라가 팝콘을 마셔 없애고 있다. 주도적인 위치에 있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 추우면 살 빠진다? 사실일까?동아사이언스 l2018.02.06
- 소모가 크고 살도 덜 찐다. 하지만 성인이 되면서 갈색지방은 점점 백색지방으로 바뀌고, 반대로 백색지방이 갈색지방으로 바뀔 수는 없다. 성인 중에는 갈색지방이 아예 없는 사람도 있다. 그렇다면 나쁜 지방이 좋은 지방으로 바뀔 수는 없을까? 두 지방의 중간 성질을 지닌 ‘베이지색지방’을 ... ...
- 사람들이 스포츠를 좋아하는 5가지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8.02.05
- 포식자 동물은 서로 엉켜 겨루거나 살짝 물면서 놉니다. 사냥을 배우는 셈입니다. 반대로 약한 동물들은 서로 뛰며 달아나는 듯한 놀이를 하곤 합니다. 이런 놀이는 진화적 쓰임새가 명확합니다. 모두들 좋아하는 축구를 예로 들어봅시다. 뛰고, 차고, 던지고, 겨냥하는 이런 활동들은 열대 사바나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남매의 금지된 사랑. 과연 가능할까? 2018.02.04
- 근친상간을 피하는 본성이 있다면, 굳이 이를 막는 제도가 생길 이유가 무엇이냐는 반대도 있었습니다. 황금가지를 쓴 제임스 프레이저의 비판이었죠. 당시 웨스터마크의 주장은 별로 인정을 받지 못했습니다. 지성계 전체를 풍미하던 프로이트와 프레이저의 비판을 받았으니 당연한 일인지도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