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반대"(으)로 총 3,3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짬짜면 과학 교실] 누나에게 자기가 생겼어요2018.02.03
- 나온 기호이기에 북극이 N극이고, 남극이 S극이어야 맞을 듯하지요. 하지만 실제는 정반대인 이유는 자기(자석)의 원리 때문입니다. 같은 극끼리는 서로 밀어내고, 다른 극끼리는 서로 잡아당기는 자기(자석)의 원리가 그것입니다. 지구의 북극이 S극이기에 나침반 바늘의 N극이 그 방향으로 이끌리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 받고 다음 시험을 위한 준비에 더 빨리 돌입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Sweeny et al., 2015). 반대로 필자의 어머니는 한 번도 가게가 안 될 가능성을 생각해보지 않은 터라 자신이 연 가게가 잘 안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매우 충격적이고 받아들이기 힘든 모양이었다. 적당한 걱정은 목표 달성 가능성을 ... ...
- 민감한 연구시설 훤히 보이는데...“연구단지 복판에 고층아파트 짓지말라“동아사이언스 l2018.01.31
- 있다. 일부 출연연 종사자들 사이에선 난개발을 막는 일 역시 중요하니, 대안없이 반대하기 보다는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신축 아파트의 층고나 규모, 배치 등을 고려해 시설보안에 큰 문제없이 건립하는 합의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다. 반면 일부는 ... ...
- 석유 아닌 미생물로 페트병 만들고 분해도 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1.30
- 생산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원유를 이용하지 않고도 페트를 만드는데 성공했다면 반대로 이미 쓰고 버려진 페트를 해결하는 방식도 필요합니다. 페트는 자연적으로는 분해가 불가능합니다. 쓰레기를 처리하듯 매립해 안 보이게 만들던가, 소각하는 방법 뿐입니다. 미생물을 이용해 페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강하다(아무튼 해피엔딩으로 끝나므로). 그런데 실제로 일어나는 일들은 대체로 그 반대다. 즉 처음엔 좋은 일인 줄 알았는데 사태가 이상하게 전개되는 경우가 많다. 가습기살균제 사태가 그런 예다. 물을 끓이는 대신 초음파로 미세한 물방울(에어로졸)로 쪼개 내보내는 가습기는 안전하고 ... ...
- 인류 문명 만든 일등공신, 뇌 크기 아닌 뇌의 ‘모양’동아사이언스 l2018.01.29
- 조금 달랐다. 이는 마치 현대인의 뇌를 위아래로 누른 것처럼 더 납작했고, 좌우는 반대로 더 길었다. 네안데르탈인이나 호모 에렉투스의 뇌와 더 비슷한 모양이었다. 뇌 모양은 약 12만 년 전부터 조금씩 변했다. 정수리 부근이 솟아 조금 더 둥글어졌고 좌우는 납작해졌다. 뇌는 약 3만5000년 전에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이혼, 재혼 그리고 여성의 인권 2018.01.28
- 보입니다. 아무래도 임신이 가능할 때, 얼른 다른 길을 찾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죠. 반대로 남성은 나이가 들수록 이혼을 더 많이 합니다. 남성은 나이가 많아도 가임력이 있기 때문이죠. 게다가 남성은 재혼을 반복할수록 전처보다 더 어린 여성과 결혼합니다.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혼인 데이터에 ... ...
- 빨리 오고, 예측 빗나가고 올해 독감, 왜 이리 독한가과학동아 l2018.01.25
- 것으로 예상되는 독감 바이러스를 추려낸다. 지구의 북반구와 남반구가 서로 계절이 반대인 만큼, 북반구에 유행할 독감바이러스를 예상하기 위해 직전에 겨울을 겪은 남반구의 유행 추이를 반영해 결정한다. 가령 올해(2017년 12월~2018년 2월) 유행할 바이러스는 2016년 6~8월 남반구의 겨울 동안 ... ...
-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 ②] 남극을 산책하는 방법2018.01.24
- 공사 중. 멀리서 본 빨간색 레고블록의 정체들 - 전현정 제공 12월이면 한국은 겨울이지만 반대로 남극은 여름이다. 외부 활동이 가능한 11월부터 2월까지는 일 년 동안 남극에 머무르는 월동대원 말고도 연구를 위해 찾아오는 연구자까지 함께 생활해 일 년 중 기지가 가장 술렁거리는 시기다. 게다가 ... ...
- 최후의 야생본능 ‘회색늑대’는 어떻게 진돗개가 됐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1.24
- 1만7000년 전 사이에 인간과 초기의 개가 함께 생활하기 시작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반대로 2017년 8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게재된 논문에선 “아직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주장을 볼 수 있다. 미국 코넬대 생태및진화생물학과 애비 그레이스 드레이크 교수팀은 고대 늑대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