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포인
핵인
inside
P
사람
인간
뉴스
"
인
"(으)로 총 3,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녹는 점 350도 낮은 석영이 거대 지진 키운다?
과학동아
l
2017.12.15
규모를 키운다는 것이다. 네이처 지구과학의 2016년 기준 임팩트팩터(Impact Factor·피
인
용지수)는 13.941, H-지수는 132로 지구 및 행성 과학 관련 저널 중 세 번째로 높다 ... ...
카페 24는 어떻게 테슬라 1호 기업이 됐나?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12.15
‘카페24’가 국내 최초의 테슬라 요건 상장 기업으로 정해졌다. 카페24는 지난 11일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 일정대로라면 오는 2월 코스닥에 입성하게 된다 ... ※ 필자소개 바이라
인
네트워크 심재석 기자. 심재석 기자는 IT전문기자 모임
인
바이라
인
네트워크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
과기정통부, 생활친화형 기술사업에 133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7.12.13
나누고 건강을 점검하며 필요할 경우 운동을 제안하는 역할을 한다. 가족이나 외부
인
과의 관계 정보를 분석해 너무 오랫동안 연락이 없었을 경우 통화를 권유하기도 한다. 이 기술에는 3년 동안 40억 원이 지원된다. 과기정통부는 “세부 과제 모두 시작품을 만들었고 일부는 제품화를 해 총 14억 ... ...
정규직 여성과학기술
인
10명 중 1.5명꼴
동아사이언스
l
2017.12.10
3703곳이 참여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도 여성 과학기술
인
지원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최근 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고용 구조 변화를 실태 조사에 반영하기 위해 앞으로 세부 조사 항목 등을 지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R&D 사업도 공론화 거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9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재검토위원회에 연구 지속 찬성 측 주장을 입증할 예정
인
송기찬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연료주기기술연구소장은 “사용후핵연료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선택지(파이로프로세싱)를 갖자는 것”이라며 “위원회에 원자력 분야 전문가가 포함되진 ... ...
타래과학(3) '나만 특별하다'는 허세는 왜 생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있어 위험합니다. 김영화 강동소아정신과의원 원장은 “공감과 소통이 중요하므로 타
인
과 깊이 교류하며 해결해야 한다. 주변에 믿고 의지할 어른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2병은 자아도취와도 관련이 있는데요, 2009년 ‘나는 왜 나를 사랑하는가’를 쓴 진 트웬지 미국 샌디에고주립대 ... ...
역대 가장 먼 준항성체 발견...초기 우주 수수께끼에 한걸음 더
동아사이언스
l
2017.12.07
것이며, 태양보다 400조배 이상 밝은 빛을 내뿜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제1저자
인
미국 카네기과학관측소 천문물리학과 에두아르도 바나도스 연구원은 논문에서 “퀘이사 중심에 있는 블랙홀이 주변의 것을 삼키며 성장할 때 나오는 에너지를 연구하면 블랙홀의 생성과 진화과정을 밝힐 수 ... ...
AR게임 포켓몬GO 만든 나이언틱, 해리포터 게임 만든다
2017.12.07
보였는데요. 높은 몰입도와 거리에서 플레이하는 방식 때문에 미국에서는 포켓몬고로
인
한 사고가 11만 건 가량 집계됐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지역에서 희귀한 아이템을 찾는 재미는 포켓몬고만의 묘미였습니다. 새로운 해리포터 게임은 머글의 세계에서 주문을 외우고 다른 마법사와 ... ...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12.07
천이나 체
인
처럼 복잡하게 꼬여 있었다. 연구팀은 이런 결정 구조가 치아의 경도를 높
인
다고 설명했다. 경도가 높을수록 마모 스트레스를 잘 견딘다. 실제로 파랑비늘돔의 치아는 1cm2 당 82t(톤)의 마모 압력을 견딜 수 있다. 길버트 교수는 “바이오 미네랄 성분이 어떻게 생성되고 기능하는지 알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성공했다. 소위 ‘합성생물학’의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되는 연구결과이지만 회의적
인
시각도 많았다. DNA만 화학적으로 만들었을 뿐 결과물은 자연의 생물체와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 반합성생명체 탄생이야 말로 오히려 진정한 ‘합성생물학’의 시대를 여는 사건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