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포인
핵인
inside
P
사람
인간
뉴스
"
인
"(으)로 총 3,0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보좌관과 행정관 두 명으론 과기계 이슈 대처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17.06.14
분야와 관련 △정책실에 과학기술보좌관 신설 △국가과학기술심의회와 자문기구
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통합 △과학기술혁신본부 부활 등을 발표했다. (☞ [점검! 文정부 과기정책④] 부활하는 ‘과기혁신본부’ 영향력 발휘 가능할까? 참조) ... ...
[이상엽 KAIST 교수 칼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교육
2017.06.12
물리, 생물 등 기초과학 기반의 다양한 기술도 이런 방식을 적용해
인
류와 환경에 기여할
인
재를 육성해야 한다. 세계 각국은 4차 산업혁명의 소용돌이에서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이 시기에 우리 후손들이 더욱 행복하고 건강한 나라를 이어 나가길 바란다면 우리가 지금 ... ...
[WWDC 2017 ⑤] 앱에게 디자
인
은 뭘까?
2017.06.11
보내는 시간이 아까워서 들여다보기 시작한 노트북과 팜 파일럿 PDA는 순간이 아니라
인
생을 바꿔 놓았다. 기술 하나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역사와 흐름을 읽고자 한다. 세상은 늘 배울 게 많고, 기술은 거짓말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 ...
‘티끌 물’ 모아 ‘큰 가뭄’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9
물을 한 번 내리는 데 최대 12L까지 든다. 환경부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1
인
당 가정용수 사용량은 하루 약 180L. 하루에 변기 물을 5번만 내려도 60L가 필요하다. 기존 변기는 S자형 관과 사이펀 현상을 이용해 오물을 흘려보낸다. 사이펀은 용기를 기울이지 않아도 높은 곳에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
2017.06.06
“넌 누구니?” 어린 왕자가 말했다. “너는 정말 예쁘구나...” “나는 여우야.” 여우가 말했다. “이리 와서 나랑 놀래?” 어린 왕자가 제안했다. “나는 ... 이 진실을 잊고 있어.” 여우가 말했다. “그러나 너는 그것을 잊어서는 안 돼. 네가 길들
인
것은 영원히 네 책임이 되는 거야.” ... ...
올해부터 과기한림원 ‘젊은과학자상’에 AI·로봇 등 융합분야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5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올해부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수여하는 젊은과학자상 시상 분야에
인
공지능(AI), 로봇공학 등으로 대표되는 융합과학이 신설된다. 과기한림원 ... 구비서류 양식, 심사절차, 심사기준 등 상세한 정보는 과기한림원 홈페이지(www.kast.or.kr)에서 확
인
할 수 있다 ... ...
고래의 폭풍 성장은 빙하기에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7
Sylke Rohrlach(F) 제공 고래는 여러모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동물이다. 암에 잘 걸리지 않고, 포유류면서도 1시간 이상 잠수할 수 있다. 하지만 역 ... 수염고래를 모아 보다 세밀한 유전자 분석을 할 수 있다면 빙하기가 고래 성장의 주요원
인
이었는지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4000년 전 이집트
인
이 먹은
인
류 첫 발효빵은 어떤 맛?
과학동아
l
2017.05.26
고대 이집트 제20왕조의 파라오
인
람세스 3세의 묘에서 나온 벽화. 당시 빵을 만들던 과정이 상세하게 그려져 있다. 위아래 그림은 각각 이승과 저 ... 먹음직스럽게 부푼 빵이 되었다. 완성된 빵은 현재 이집트 사람들이 주식으로 삼는 빵
인
'아이시'와 비슷하다. - AZA 스튜디오 이서연 제공 ... ...
[구글 I/O] 구글이 꿈꾸는 가상현실
2017.05.22
보내는 시간이 아까워서 들여다보기 시작한 노트북과 팜 파일럿 PDA는 순간이 아니라
인
생을 바꿔 놓았다. 기술 하나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역사와 흐름을 읽고자 한다. 세상은 늘 배울 게 많고, 기술은 거짓말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국가를 잃은 사람에게, ‘과학’은 살 길이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1
그리 어색하지 않은 일이다. 이번 주 ‘사이언스’에 실린 한 연구에서는 과학자 개개
인
에 고유한 식별코드를 할당하는 비영리조직 ‘오키드(ORCID)’의 데이터를 이용해 300만 명 과학자들의 이동경로를 분석했다. 과학자들은 논문을 통해 자신이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을 표시하기 때문에 오키드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