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 있답니다.또한 전파망원경을 통해서는 우주의 탄생인 빅뱅이 일어나고 38만 년이 지난 다음의 모습만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중력파는 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부터 볼 수 있답니다. 중력파는 오랜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인 셈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헤르츠는 ‘전자기파는 아무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두 딸기를 먹는 방법을 금세 터득했다. 그런데 뮐러-파울라 박사팀이 놀란 건 그 다음이었다. 거북이 모양을 선택하는 속도가 쥐나 개보다 빨랐기 때문이다! 이유는 이렇다. 거북의 뇌에는 학습과 기억, 그리고 공간탐색에 관여하는 해마가 없다. 대신 복잡한 인지행위와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중앙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들어가는데 뼈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힘을 받는 셈이다. 캔에 든 소다를 열심히 흔든 다음 송곳으로 구멍을 내면 탄산의 압력 때문에 캔이 바깥쪽으로 폭발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머리를 관통하면서 총알의 속도는 다소 줄어들지만 회전 반경은 더 커진다. 이 때문에 총알은 폭발하듯 뼈를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하기 싫을 때가 있다. 이불 밖은 위험하고 숨 쉬는 것조차 귀찮다든가, 다음 생은 크림빵으로 태어나 따뜻한 오븐 안에서 야금야금 숨만 쉬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 심리학자들은 이렇게 손가락 하나 까딱할 수 없는 무기력함의 원인을 크게 에너지 고갈, 동기 부족, 자신감 부족, 통제감 부족으로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독특한 특징은 이전 숙주의 기억을 다음 숙주에게 전달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이 정보가 다음 세대와 숙주에게 전달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프레다는 이 생명체가 자료수집용으로 만들어졌으며 10만 년 동안 지하 생태계에서 살아가는 동안 천천히 퇴화되었다고 믿는다. 고장난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시선이 어느 정도 바뀌고 난 뒤가 배경이다.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인간이 진화의 다음 단계로 돌연변이를 받아들인다. 이런 상황에서 내부에서 갈등하는 돌연변이들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대립 결과가 궁금하다면 영화 ‘엑스맨:아포칼립스’에서 확인해보자 ... ...
- [소프트웨어] 복불복 룰렛의 기댓값 구하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게임의 방법은 간단합니다. 여기 칸의 개수가 다른 두 개의 룰렛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저와 대결을 벌이면 됩니다. 룰렛이 분홍색 칸에 멈추면 점수가 올라가는데요. 8칸 룰렛은 100점, 4칸 룰렛은 50점을 얻습니다. 당신은 어떤 룰렛으로 게임에 참여하겠습니까?룰렛 게임으로 배우는 확률두 룰렛 ... ...
- [과학뉴스] 세포 주기 조절 요인, 단백질(X) mRNA(O)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번역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유전자들의 단백질 번역이 감소해야 다음 주기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세포 주기와 관련된 여러 질병을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라며 “향후 mR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이 세포 주기 조절에 어떤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신약 개발, 암 치료, 핵폐기물 처리, 농작물 육종 등 실질적인 활용처가 매우 다양하다(다음페이지 참고).깨고, 부수고, 새로 만드는 원자핵 놀이터중이온가속기는 펨토미터 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해 주는 일종의 ‘현미경’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원자핵을 만들어낼 수 있는 생성장치다. 대전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해밀턴의 초창기 논문들에서 ‘유전자의 눈’ 관점(Gene’s eye view)도 엿볼 수 있다. 다음 세대에 더 많은 복제본을 남기려는 의도와 목표를 지니며, 이를 실행에 옮기고자 분투하는 유전자 말이다. 이런 은유는 해밀턴의 1972년 논문에서 한층 더 명확히 드러난다. “개체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