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deep neural network)’이다. 딥러닝의 각 층들은 간단한 연산을 통해서 정보를 재처리하고, 다음 층으로 재처리된 정보를 넘긴다. 컴퓨터는 방대한 데이터로 학습을 해 층간의 가중치를 구함으로써 심층 신경망을 학습시킨다. 과거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지만 딥러닝은 아직까지 해결해야 될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물리학과는 자연과학대 전체에서도 가장 인기가 많은 학과예요. 화학과와 수학과가 그 다음입니다.교수님의 수업은 이곳의 수업과 접근법이 꽤 다른 것 같습니다. 완전히 새로운 내용이에요. 난이도도 적당해서 너무 어렵지도 않습니다. 다만 영어에 자신이 없어서, 교수님께 질문을 하기가 ...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가량 지속되자 따돌림을 당한 나머지 한 명은 자존감이 떨어지고 우울한 감정이 커졌다.다음으로 참가자들에게 미리 준비한 얼굴 표정 사진을 보여줬다. 화난 표정, 행복한 표정, 두 감정이 섞인 표정 등 세 가지 표정 사진을 준비하고 같은 감정 내에서도 10% 간격으로 미세한 감정의 차이가 나도록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2층인데도 느껴지는 것 같았다. 이 행성의 진동이. 소금은 고요한 우주를 상상했다. 그 다음날, 그는 수업시간이 끝난 후 평소처럼 말간 얼굴로 표준어 교실을 찾아온 소금에게 서류를 보여주었다. 카두케우스 비행학교 지원안내서였다.그는 어느새 열세 살이 된 소금을 응시했다. 이 아이는 ...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월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질소를 발견해 생명체가 살았을 것이라는 기대를 더욱 높였다.다음은 화성의 상세한 지형도를 그리는 것이다. 현재는 ‘마스 오디세이’, ‘마스 익스프레스’, ‘화성 정찰궤도선회탐사선(MRO)’, ‘메이븐(MAVEN)’ 등 궤도선을 통해 화성 상공에서 지형과 토양의 구성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죽은 뒤 시간이 지날수록 사체는 부패되기 시작해요. 장기처럼 축축한 곳이 먼저, 그 다음으로 피부와 근육이 부패되어 결국 나중엔 딱딱한 뼈만 남게 되지요. 이때는 뼈가 사망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유일한 단서가 된답니다.뼈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요. 실제로 과학수사대는 사건 현장에서 ... ...
- [수학뉴스] ‘지프의 법칙’ 얼마나 맞을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한 권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의 개수는 그 다음으로 많이 나오는 단어의 개수와 수학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놀랍게도 긴 글에서 단어들이 나오는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해 순위를 매기면, 그 빈도가 해당 단어의 순위에 반비례하는 수학적인 법칙이 있습니다. 바로 ‘지프의 ...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없으니 답답하네요. 이럴 땐 역시 ‘파이어 인 더 홀’을 외치며 수류탄을 던져 터뜨린 다음, 용감하게 뛰어 들어가야 해요!잠깐! 누군가 뛰어오는 소리가 오른쪽 1시 방향에서 들려요. 나는 옆에 있던 작은 상자에 몸을 숨기고, 숨소리를 죽였어요. 아니나 다를까. 오른쪽 1시 방향에서 아이돌 ... ...
- [수학레시피] 생활에서 쉽게 찾는 비와 비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상대적으로 어떻게 나타내야 할지를 고민해 봐야 합니다.비와 비율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사전적 의미만으로는 학생들이 비와 비율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비’는 두 양의 크기를 비교할 때 편리하게 쓰이고, 두 양의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냅니다.25 : 50보다는 1 : 2가 비교하기에 훨씬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알파고는 가로 세로 수 cm에 불과한 정사각형만을 파악해 분석하면 된다. 현재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 넘어갈 때 탐색해야 하는 공간이 매번 확정된다는 의미다.그러나 우리가 인공지능으로 풀고 싶어하는 일상의 많은 문제는 바둑 같지 않다. 사진 한 장을 보더라도 사람마다 다르게 묘사할 수 있다.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