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26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어떤 부작용 있나… 전문가들 "미리 충분히 설명해야"
2020.12.08
지적한다. 최 교수는 “백신의 부작용이 모두 발생하더라도 일시적이며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보인다는 반응원성의 정상적 신호”라면서도 “백신 접종의 주요 장벽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의료진은 환자에게 부작용이 코로나19 증상과 불행하게도 유사하게 보이는 이유를 설명하고 ... ...
[팩트체크]정부가 확보한 백신 4종 종류와 원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이용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체내
면역
세포가 여기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2차례 접종이 필요하다. 정부와 공급계약을 맺진 않았지만 중국 시노백은 불활성화 바이러스 방식의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전통적인 방식의 백신으로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 백신 보급에 앞서 부작용도 대비해야
2020.12.08
“부작용은 백신이 잘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이는 첫 번째 접종이 좋은
면역
반응을 보였고 이제 그 효과를 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와이스먼 교수는 “mRNA 없이 동물에서도 같은 성질을 보이는 것으로 볼 때 지질 나노입자가 반응원성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본다”며 ... ...
다른 나라 인구수보다 더 많이 백신 확보해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분배하기 위한 국제기구인 전염병 대유행 대비 글로벌 백신연구연합(CEPI) 및 세계백신
면역
연합(GAVI) 관련해 공급을 약속한 지역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약 30억 도스 분량의 대량생산체계를 갖췄다고 밝히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제공 정부가 8일 브리핑을 열어 4400만명 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
6월부터 진행된 백신 확보전 확보 목표 3000만명→ 4400만명분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당시 정부는 전 국민이 접종 가능한 물량의 백신 확보를 목표로 하되 최소한 집단
면역
형성이 가능한 국민 70% 수준의 물량 확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위험 최소화를 위해 백신의 작용 방식에 따른 플랫폼별로 1개 이상 확보를 추진하겠다고도 밝혔다. 이어 정부는 9월 15일 국무회의에서 ... ...
'생명의 신비상'에 김완욱 서울성모병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단단히 만들어주고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태반성장인자를 조절해 난치성
면역
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는 “앞으로 더 큰 역량을 발휘하여 최선을 다하라는 의미로 이번 상을 주신 것이라 생각한다”며 “서울성모병원의 의사로서 가톨릭 생명윤리에 근거한 ... ...
코로나19 항체,
면역
체계 도움 없으면 효과 '별로'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면역
체계 사이 관계를 아는 것 또한 중요해질 것”이라며 “향후에는 임상 효과보다
면역
상관관계에 기반한 허가를 받아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
SK, 혁신기술로 항암·난치병 치료제 개발 나선다…2억달러 투자
연합뉴스
l
2020.12.07
기반으로 빠른 상업화를 이뤄낸다는 전략이다. SK㈜와 로이반트는 현재 항암과
면역
·신경계 질환 중심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파이프라인을 확보했으며, 이 중 항암 분해 신약은 뛰어난 약효와 안전성이 검증돼 내년 임상 진입이 예상된다고 SK㈜는 전했다. 글로벌 제약사들도 경쟁적으로 표적 ... ...
왜 동아시아인은 코로나 덜 걸리나…비슷한 바이러스 경험 덕분?
연합뉴스
l
2020.12.06
항체는 상대적으로 덜 생성했다는 초기 데이터가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환자들의
면역
체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유사한 다른 바이러스를 이미 접한 적이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치 않다. 도쿄 농업기술대의 바이러스학자인 미즈타니 데츠야는 코로나19와 비슷한 과거의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류는 늘 이주를 꿈꾼다
2020.12.06
포식자도 많다. 엉뚱한 곳으로 이동할 위험성도 있다. 더 다양한 병원체를 만나게 되므로
면역
계도 강력해야 한다. 이주는 아주 비싼 활동이다. 다이애나 아웃트로와 게리 보엘커는 할미새의 이주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재미있는 주장을 발표했다. '진화적 선도자 모델'이라고 한다. 서식지의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