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과 함께한 놀자, 과학아! 샌프란시스코 과학놀이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그 회오리바람을 보았어요. 그런데 작고 귀여운 회오리라 전혀 무섭지 않았고 만져
보기
까지 했답니다.‘안개 도넛’도 보았는데 구멍이 있는 금속판을 살짝 누르니까 화산이 폭발하는 것처럼 구멍에서 도넛 모양의 안개가 생겨났어요. 기자단은 마음을 모아 고리 모양의 안개를 천정까지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과학의날, 위대한우리 과학자들을 만나 보자!이번 과학의날에는 특별한 손님들을 만나
보기
로 해요. 바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에 오른 19인의 우리나라과학자들 이지요. 아인슈타인이나 뉴턴 같은 외국의 위대한 과학자 못지 않게 훌륭한 과학자들이 우리나라에도 많답니다.화약무기의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느끼는 정도는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일정한 양의 진통제로 똑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다 그래서 환자 자신의 의견을 존중하면 가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환자 스스로 견디기 어려운 정도의 통증이 온다고 생각될 때마다 스스로 스위치를 눌러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이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아직까지 대륙간탄도탄과 같은 장거리 미사일을 완벽하게 방어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앞으로는 항공기 탑재 레이저(ABL)나 우주기반 레이저(SBL)를 개발해 가속구간에서 적의 탄도탄을 파괴할 계획이다. 완전한 미사일방어체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 ...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야생벼의 유전자를 이용해 병해충 저항성을 늘리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냥
보기
에는 잡초 같죠”라며 미소를 짓는다. 야생벼는 그야말로 우리 땅에 마구잡이로 자라는 풀이다. 보살펴 주는 농부가 없으니 스스로 해충들을 막아내는 성질을 유전적으로 타고 났다. 이런 유전자를 도입해 ... ...
귀신도 과학적으로 해부해 집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13년 전 PC통신이 유행하던 시절 재미 삼아 ‘귀신 얘기’를 써서 올리던 공학자가 있었다. 그의 글은 나중에 850만부나 팔린 책 ‘퇴마록’으로 거듭났 ... 그의 글이 기성문단의 틀에 갇히고 말았을 터라는 것이다. ‘퇴마록’ 역시 세상의 빛을
보기
힘들었으리라. 그의 차기작이 기대된다 ... ...
우주 떠도는 해골 유령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있다. 놀랍게 우주를 떠도는 유령도 있다. 지난해 12월 유럽남반구천문대(ESO)는 국내에서
보기
힘든 별자리인 고물자리에서 떠돌고 있는 ‘유령’ 천체를 포착해 공개했다. 그리스신화에 따르면 고물자리는 영웅들이 타고 원정을 떠났던 배인 아르고호의 뒤쪽에 해당한다.NGC2467이라 부르는 이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다 빈치는 인체의 비율을 연구했다. 그의 스케치 속 인체는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지만, 겉
보기
와는 달리 몸 속 장기들은 대칭을 거부한다. 심장은 왼쪽에 치우쳐 있고 폐의 모양도 좌우가 다르다. 만약 정확히 대칭을 이루는 장기 구조를 가진 사람이라면 생명이 위태로울지도 모른다. 또 거울을 보면 ... ...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LED등의 발광소자가 따로 필요하다. 대표적인 제품이 LCD다.비발광소자의 단점은 화면을
보기
위해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고, 따라서 색을 구현하는데 여러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발광소자는 별도의 광원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재료비를 낮고 가볍고 얇게 만들 수 있어 차세대 소자로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망원경을 사용해 독수리 눈으로 불렸으니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각지름 : 천체의 겉
보기
지름을 각도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항성의 각지름은 아무리 커도 0.05초를 넘는 일은 드물며 태양과 달의 각지름은 0.05로 가장 크다.분해능 : 멀리서 관측할 때 두 개의 별이 하나의 별처럼 보이는 것을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