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라이센스 비용이 들지 않고 적은 메모리에서도 작동되기 쉬운 리눅스를 내장한 정
보기
기 제품 개발에 많은 기업들이 주력하고 있다한마디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프로그램을 커널(kernel) 수준에서 리눅스를 제어해 설계한 초소형, 초경량 운영체제를 말한다 소스코드가 공개돼 기술력만 있으면 ... ...
시간의 흐름 속에 탄생한 생명의 신비를 느끼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1. 관람에도 순서가 있다! 박물관에 들어서면 눈에 들어오는 전시물부터 무심코
보기
마련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박물관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3층으로 올라가야 한다. 우주에서 지구가 탄생하는 순간부터 현재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지구환경관(3층), 고생대와 중생대의 화석을 비롯해 생명체의 ... ...
화성의 '웃는 얼굴' 크레이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시절보다 해상도가 좋은 카메라로 찍으면 온갖 ‘잡티’가 발견되기 때문에 웃는 얼굴로
보기
더 힘들다. 멀리서 매끈해 보이는 얼굴도 가까이 가서 자세히 보면 잡티가 드러나는 것과 마찬가지다. 웃는 얼굴 지형에 대한 누리꾼의 불평도 이해가 간다.그렇다면 웃는 얼굴 지형이 왜 생겼을까.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기억이 있을 거예요. 그렇다면 왜 이렇게 날짜까지 정해 나무를 심는 걸까요? 그냥
보기
좋으라고 심는 걸까요? 아니랍니다. 나무는 우리 인간뿐 아니라 지구의 모든 생명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지요. 추운 겨울을 떠나 보내고 움츠렸던 생명들이 활기를 찾기 시작하는 4월. 우리가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텔레비전튜너 등 전자부품, 범퍼 연료펌프 탱크 캡 등 자동차부품, 키보드 팬 등 정
보기
기에 유리섬유를 강화한 제품이 널리 쓰인다화면상에 나타나는 가로 세로의 비율 종횡비는 VGA와 MCGA에서만 정방형의 종횡비를 가지고 있다컬러 그래픽 어댑터 초기 PC에 장착되었다 최대 해상도 6백40×2백에서 1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이 병으로 키도 자라지 않았고 얼굴에는 발진으로 생긴 흉터가 많이 남았다. 부모가
보기
에도 너무나 못생겨 결혼시키는 것을 포기할 정도였다고 한다.집안일만 할 수밖에 없었던 캐롤라인 허셜에게 구원의 손길을 뻗친 것은 오빠인 윌리엄 허셜이다. 윌리엄 허셜은 누이동생의 앞날을 걱정하며 꼭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않지요.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개기일식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개기일식을
보기
힘든 것 같아요.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었던 최근 개기일식은 1887년 8월 19일, 금환일식은 1948년5월 21일이었다고 해요. 게다가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서는 당분간은 일식을 볼 수 없어요. 다만 2035년 9월 2일에 북한의 ...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아르키메데스는 이론과 실제의 결합이야말로 과학을 향상시킨다고 생각한 고대에서는
보기
드문 과학자이며 그는 저서《방법》에서 그 연구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했다 아르키메데스가 고안했다는 양수장치(揚水裝置) 아르키메데스의 펌프라고도 한다 구조는 가늘고 긴 원통 속에 나사모양으로 깊은 ... ...
63빌딩을 벽돌처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그래야 더 크게, 더 깊게, 더 멀리 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자기가 보려는 그림만
보기
때문에 작은 벽에 부딪치면 쉽게 포기해요. 하지만 잠시 여유를 갖는다면 더 큰 그림을 볼 수 있죠”언젠가 한 학생이 제올라이트를 유리판에 붙이는데 효소를 풀로 사용했다. 그런데 제올라이트가 유리판과 ... ...
종이나라의 '오려라 공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만들어진다. 그럼 두 번 꼬아서 만든 고리의 가운데를 자르면 어떻게 될까? 실험해
보기
전에 미리 맞혀야 하는 것 알지?” 이것은 독일의 수학자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가 발견한 원리였다. 썰렁 홈즈는 과연 이 문제를 풀 수 있을까? 여러분들이 문제를 풀어 두 사람의 결혼을 도와 주는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