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보니, 선이 시간적, 공간적 이동도 상징하더라고요. 여행을 하면서 거치는 장소를 점, 그 사이의 이동 경로를 선으로 표현할 수 있듯이, 제게 선은 정적인 점이나 면과는 다르게 움직임과 흐름을 표현하는 기호인 셈이에요. 최근에는 움직임을 조금 더 역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공간을 가로지르는 선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점을 찍을 땐 우리가 찾는 선분의 개수가 변하지 않아. 같은 색깔 사이는 어떨까? 파란색 사이에 파란 점을 찍으면 우리가 찾는 선분의 수가 그대로지만, 빨간 점을 찍으면 2개가 더 생겨. 따라서 우리가 찾는 선분은 처음엔 1개고 그다음엔 개수가 유지되거나 2개씩 더 늘어나므로 1, 3, 5, 7,… 로 항상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난 복도를 향해 뛰었다. 하림도 무작정 뛰었다.그러자 경비로봇과 비밀결사대 사이가 텅 비고 말았다. 경비로봇이 공격을 시작했고, 비밀결사대도 몸을 가릴 곳을 찾아 뛰며 반격했다.치열한 총격전이 펼쳐졌다. 어쩌다 보니 꼴찌로 오른쪽 복도를 향해 접어들던 하림이 무심코 뒤를 돌아보았다.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돕는다. 김은주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효능연구팀 수석연구원은 “각질세포 사이사이에 있는 통로를 따라 화장품 성분이 이동하면서 보습 효과가 있는 성분들을 각질 세포에 전달하고 동시에 수분 손실을 막아주는 막을 형성한다”고 설명했다. 신진섭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BS연구팀장은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자연수 집합과 실수 집합의 크기를 비교한 방법은 무엇이 었을까? 칸토어는 0과 1 사이의 모든 실수를 자연수와 하나씩 짝지었다고 가정하고 시작했다. 그 다음, 이 목록에 없는 실수를 찾을 수 있는지 실험했다. 먼저 왼쪽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을 배정받은 실수의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릿수를 찾아 ... ...
- [매스미디어] 레고 닌자고 무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벽을 타고 거미처럼 올라가는 거미 점프에도 비슷한 힘이 작용해. 먼저 수직인 두 벽 사이에서 폴짝 뛰어 손과 발로 몸을 지탱해야 해. 그리고 손과 발을 번갈아 가면서 거미처럼 위로 올라갈 수 있지. 떨어지지 않으려면 벽을 세게 밀어 마찰력을 강하게 만들어야 해. 임진왜란에 닌자가 나타났다 ... ...
- [과학뉴스] ‘얼음 행성’ 깊숙한 곳 구조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천왕성은 암석형 행성으로, 맨틀과 대기 사이에 물과 암모니아, 메탄 등이 얼어붙어 있어서 얼음 행성으로도 분류된다. 최근 이런 얼음 행성의 화학적 구조를 추정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드레아스 헤르만 영국 에딘버러대 물리천문대 극한환경과학센터 박사팀은 얼음 행성의 극도로 높은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화성으로, 이후엔 심우주로 데려갈 광범위한 임무의 시작과도 같다. NASA는 2021~2023년 사이 오리온에 우주비행사 2~4명을 태우고 달의 근접궤도까지 갔다가 귀환하는 ‘EM-2’ 임무도 계획하고 있다. NASA는 2026년 달 궤도에 유인 우주정거장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DSG)’를 건설하고 인간이 달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울리던 사이렌 소리, 나는 울부짖으며 앞문으로 뛰어내려서 너를 붙잡았는데 내 손 사이로 흘러내리던 빨간 네 피가 따뜻했던 것이 지금도 꿈처럼 몽롱하다. 나는 분명 울었던 것 같고, 비명을 질렀던 것 같은데 사실은 제대로 기억나는 것이 아무 것도 없어. 내 손에 감싸인 네 얼굴…… 어딜 가나 ... ...
- [과학뉴스] 쥐라기 하늘에서 ‘좀 날렸던’ 포유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박쥐와 유사한 발꿈치 뼈를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은 화석 속 동물이 나무와 나무 사이를 활공 비행하는 포유류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화석이 날다람쥐(유대류), 박쥐(태반 포유류)와는 관계없는 새로운 멸종 포유류라고 결론지었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화석은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