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유전자 가위 둘러싼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돌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연구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셜코우 교수는 8월 4일 ‘사이언스’에 “예상치 못한 요소들이 발생하면서 특허 분쟁의 결과를 더더욱 예측하기가 어려워졌다”며 특허 분쟁의 2라운드가 예상보다 치열해질 것임을 예고했다 ... ...
- [Future] 생체 이식 칩의 진화, 내 안에 ‘칩’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머지않아 인체 이식 칩이나 기기가 낯설지 않은 시대가 올 것은 분명하다. 영화에서 보던 사이보그가 우리 곁으로 점점 다가오는 셈이다. 우리에게도 곧 선택의 순간이 올 것이다. 어떤가, 당신도 이식하겠는가 ...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싸울 때는 최악의 무기가 된다. 뿔이 뒤로 나 있는 바람에, 수컷은 무릎을 꿇고 앞다리 사이로 고개를 푹 집어넣어야 간신히 뿔로 상대방을 위협할 수 있다(얼마나 목이 아플까!). 왜 자연선택은 오릭스의 뿔이 정면을 향하게끔 설계하지 않았을까. 왜 비효율적인 무기로 의례적인 공격 행동만 일삼는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 전략 클라인 4원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차례로 없애면 페그 2개가 그림과 같이 남고, 파란색 페그를 가운데로 옮기면 그 사이에 있는 빨간색 페그를 잡아먹어 페그 1개만 남길 수 있어요. 이렇게 구역을 나눠 페그를 없애면 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지요. 구역의 모양이 같으면 페그를 잡는 방법이 같기 때문에 따져야 할 경우도 훨씬 ... ...
- 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좁은 지역에 집들이 빽빽하게 붙어 있는 지역이에요. 대부분 높은 비탈길에 있고, 건물 사이의 길이 좁고 복잡해 사고가 날 경우 소방차나 구급차가 접근하기 어렵지요.하지만 이제는 정밀지도 덕분에 소방차나 구급차의 진입로 뿐만 아니라, 보수가 필요한 부서진 가로등이나 휠체어가 다닐 수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합니다.즐거운 감정으로 공부하면 기억이 더 잘 됩니다. 긍정적인 사고는 신경세포 사이의 회로 연결 가능성을 높여 주고 새로운 회로를 형성하게 합니다(반면 부정적인 사고는 회로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억제하죠). 낙관적인 사고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을 낮추고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찾는 것은 불가능했다. 누군가가 필요했다. 생물학부 건물을 나온 뎀베는 작은 정원을 사이에 두고 건너편에 있는 물리학부 건물로 향했다.건물 내에는 쓸모없는 자신감에 빠진 학부생들이 몇 있을 뿐이었다. 이리저리 둘러보며 지친 표정의 대학원생을 찾다가 결국 양손에 무언가를 잔뜩 묻히고 ... ...
- [DJ CHO의 롤링수톤] NASA를 꿈꾸던 소녀, 우주를 노래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우주비행사에 관한 글이요.프로젝트를 시작한 사람들은 우주비행사를 재우고, 그가 잠든 사이에 우주선을 띄워 보냅니다. 하지만 우주선에서 깨어난 우주비행사는 혼란에 빠집니다. 500년 동안 잠들어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거든요. 노래가 흘러나오는 동안 우주비행사는 슬픔과 분노로 ... ...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바탕으로 평범한 이미지를 추상화로 바꿔 주는 ‘딥드림’을 개발했지요.딥드림은 웹사이트(deepdreamgenerator.com)에 접속하면 누구나 체험할 수 있어요. 이때, 추상화로 바꾸고 싶은 이미지가 필요해요. 사용자가 이미지를 올리면 딥드림은 이걸 작게 쪼개요. 그 다음, 쪼갠 부분에서 동물의 일부와 ... ...
- [과학뉴스] 뇌가 크면 외국어를 잘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달리 머리 크기와 지능은 별다른 관련이 없다. 하지만 뇌의 크기와 언어 학습 능력 사이에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창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교세포연구단장과 류인균,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뇌에 있는 비신경세포 ‘별아교세포(astrocyte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