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가지로 세분될 수 있는 게 아닐까. 연구결과 이들 수용체에서 전달된 신호는 모두 하나의
신경
으로 통합돼 뇌로 들어간다. 즉 하나의 쓴맛으로 느껴진다는 것이다. 어차피 쓴맛은 몸에 해롭다는 정보만 알려주면 충분하므로 굳이 그 종류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 민감도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연구들은 뇌의 정보처리 과정 중 의식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와 그렇지 못한 정보의
신경
학적 기전, 지각·주의·기억·의사결정에서의 의식과 무의식 현상을 밝히는데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마음의 이해에 중심이 되는 의식의 문제는 뇌를 연구하는 우리의 뇌가 밝혀야 할 중요한 과제로 여전히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있는데 이를 모두 규명하면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아무튼 임신 초기
신경
계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이상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면 탈리도마이드처럼 이 시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을 피해야 함은 물론이다. 또 기능이 떨어지는 돌연변이체를 갖는 경우는 환경의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정신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어떤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일까? 이 같은 의문은 ‘인지
신경
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태동시켰다. 1970년대 후반 뉴욕에서 만들어진 이 용어는 현대과학의 중요한 한 분야를 차지하게 된다.이로써 단지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통해 복잡한 인지기능을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컴퓨터에 내리면 로봇이 예정된 수술을 수행하는 영상유도로봇이 있다. 영상유도로봇은
신경
외과에서 사용하면서 크게 발전하게 된다. 대표적인 로봇으로 ‘뉴로매이트’(Neuromate)가 꼽힌다. 정형외과 분야에서 인공관절 수술시 이용하는 ‘로보닥’도 같은 방식이다. 이들 로봇은 대개 의사의 ... ...
2. 디자인의 진화심리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내는 것은 당연한 반응”이라며 “생각이 많이 요구되는 대상일수록 미적 디자인에 더욱
신경
을 써야한다”고 말했다. 지각은 단순함을 선호“좋은 형태는 모든 대상을 가급적 단순한 형태로 지각하려는 내재적 지각 성향을 충족시키는 것이다.”현대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친 ‘형태(Gestalt)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특히 독버섯 성분인 무스카린의 혈관 확장작용을 발견, 아트로핀의 길항에 의한 자율
신경
계의 생리를 해명하고, 화학자와 임상학자의 협력으로 치료약을 발견했다 약물대사(해독기구)의 연구·개발뿐 아니라 저서《약리학의 기초》(1883)는 현재도 명저로 꼽힌다 구면상(球面狀) 위의 등면적(等面積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수km 밖에서도 감지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인체가 비슷한 소리를 구별할 때 사용하는
신경
계 원리와 유사하다. 무인동작감시카메라와 함께 설치될 경우 소리를 탐지해 사건이 발생한 쪽으로 카메라 방향을 바꿔주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입모양만으로 대화 내용을 파악하기도 한다. 아무리 뛰어난 ... ...
수정란에서
신경
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필요 없이 이미 우리 뇌에서 잠자고 있는
신경
줄기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새로 생긴
신경
세포가 살아남도록 도와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할지 모른다. 문제는 비록 세포가 생겨난다 하더라도 그 부위는 이미 뇌혈관이 막혀 뇌조직이 죽어 있는 상태다 보니 새로 생겨난 세포도 별 수 없이 살아남지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반증하고 있는 셈이다.그런데 예측할 수 없는 유전자의 변이를 통해 뇌처럼 정교한
신경
회로의 성능이 개선되는 일이 실제 가능할까. 아무리 생각해도 돌연변이가 생기면 백발백중 회로의 결함으로 이어질 것 같다. 이런 의문에 대한 해답을 컴퓨터과학의 새 분야인 ‘진화알고리즘’이 내놓았다.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