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변환시켜 생체에 전달하는 조작 혈압 · 심장박동 · 피부온도 · 근긴장(筋緊張) 등 자율
신경
계의 지배를 받는 생리활동이나 뇌파(腦波)는 큰 변화를 제외하고는 자기의 의지로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없는 불수의활동(不隨意活動)들이다 세균 · 곰팡이 ·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역시 비대칭이 될 수밖에 없다.내장은 짝짓기 상대의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모양에
신경
쓸 필요가 전혀 없다. 그렇다면 주어진 공간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쪽으로 발달하는 것이 최선이다.상명대 생물학과 이성호 교수는 “장기가 몸의 정중앙에 일렬로 놓이면 몸 안에 불필요한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시도 때도 없이 방문하면 연구에 방해가 되지 않을까? “과학자들은 방문객들은
신경
안쓰고 자신의 일을 한다. 또한 방문객들은 둘러보다가 어떤 과학자에게 물을 수도 있다. 그럼 과학자들이 대개 성심성의껏 대답을 해주고 있다. CERN은 찾아오는 사람을 언제나 환영하는 분위기다.” 백 박사의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손상을 입은 환자와 정상인을 비교연구한 결과 사람에게 사회적 속임수를 가려내는
신경
회로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예 거짓말 할 때 나오는 뇌파에 대한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미 뉴욕시립대 퀸스칼리지 레이존슨 주니어 존스 박사팀은 거짓말 할 때 뇌의 어떤 부위가 반응하는지 대해 200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으면 진동이 전달돼 몸이 덜덜 떨리는데, 이 진동이 몸 전체의
신경
계를 자극함으로써
신경
계 질환을 치료하는 의료용 기구였다.“아! 아~! 도레미파솔라시도.” 자신의 목소리가 악기가 된다면 어떨까. 헤드셋을 착용하고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면 자신의 목소리가 컴퓨터 화면에 파장으로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간단한 아이디어에서 시작했다. 일단 거미는 거미줄에 걸린 먹이에 침샘에서 분비되는
신경
마비 독액과 강력한 소화액을 주입하고 잠시 기다린다. 얼마 뒤 먹이 몸속은 액체상태에 가까울 정도로 녹아버리고 거미는 다가가 이를 쭉쭉 빨아 먹는다. ‘체외소화’ 라는 이 과정을 통해 거미는 매우 ... ...
생각만으로 컴퓨터 게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실시할 수 있도록 승인을 받았다. CNS는 ‘브레인게이트’ (Braingate)라고 부른 이 기술이
신경
세포(뉴런)로부터 신호를 읽고, 신호를 행동으로 해석하는 기술의 초기 단계라고 설명했다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메커니즘냄새 분자가 자신과 맞는 후각 수용체에 달라붙으면 수용체는 이 신호를 후각
신경
을 통해 뇌로 전달한다.냄새 분자는 여러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기도 하는데 이때 뇌는 여러 수용체에서 들어온 정보를 종합해 특정한 냄새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바이오센서와 분자기계들이 작동하고 있다.세포막에 박혀있는 수용체분자는 호르몬이나
신경
전달물질을 인식해 신호를 전달한다. DNA의 유전정보를 담은 전령RNA를 읽어들여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리보솜은 나노조립라인이고 DNA를 복제하는 중합효소는 복사기에 해당한다. 단백질분해효소는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그 사이에 0.5㎜두께의 펩티드 젤을 둔 것. 그러자 기존 방법으로는 잘 자라지 않던
신경
세포가 젤로 침투하면서 왕성하게 세포분열했다. 연구자들은 “세포는 나노섬유를 세포밖 조직으로 인식해 실제 뇌에서처럼 분열을 일으킨다”며 “게다가 펩티드 골격은 시간이 지나면 생분해될 뿐더러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