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간의 21번째 염색체와 비슷한 침팬지의 22번째 염색체를 비교한 결과 심장, 뇌, 말초
신경
계와 관련해 비슷한 기능을 가진 유전자지만 인간이 훨씬 많은 단백질을 만드는 것으로 판명됐다. 이것은 인간의 특정 단백질들이 침팬지보다 우리의 몸에서 훨씬 더 많은 곳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는 증거다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냅킨을 집어 어색한 상황이 종료된다.뇌량(corpus callosum)좌우 대뇌반구가 연접된 부분으로
신경
섬유의 큰 집단이다. 좌뇌와 우뇌의 의사소통 통로다. 뇌량이 절단된 사람은 정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와 생명 탄생의 숨은 코드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시도 때도 없이 방문하면 연구에 방해가 되지 않을까? “과학자들은 방문객들은
신경
안쓰고 자신의 일을 한다. 또한 방문객들은 둘러보다가 어떤 과학자에게 물을 수도 있다. 그럼 과학자들이 대개 성심성의껏 대답을 해주고 있다. CERN은 찾아오는 사람을 언제나 환영하는 분위기다.” 백 박사의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메커니즘냄새 분자가 자신과 맞는 후각 수용체에 달라붙으면 수용체는 이 신호를 후각
신경
을 통해 뇌로 전달한다.냄새 분자는 여러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기도 하는데 이때 뇌는 여러 수용체에서 들어온 정보를 종합해 특정한 냄새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간단한 아이디어에서 시작했다. 일단 거미는 거미줄에 걸린 먹이에 침샘에서 분비되는
신경
마비 독액과 강력한 소화액을 주입하고 잠시 기다린다. 얼마 뒤 먹이 몸속은 액체상태에 가까울 정도로 녹아버리고 거미는 다가가 이를 쭉쭉 빨아 먹는다. ‘체외소화’ 라는 이 과정을 통해 거미는 매우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정보 처리를 요구하는지 알 수 있다.실제로 손과 손가락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이러한
신경
조직의 결합은 태어날 때부터 완성된 형태로 주어져 있지 않고, 서서히 형성돼간다. 긴꼬리원숭이의 경우 생후 6개월경부터 손동작이 정교해지면서, 다른 원숭이의 털에 붙은 이를 잡아주는 일종의 사회적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바이오센서와 분자기계들이 작동하고 있다.세포막에 박혀있는 수용체분자는 호르몬이나
신경
전달물질을 인식해 신호를 전달한다. DNA의 유전정보를 담은 전령RNA를 읽어들여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리보솜은 나노조립라인이고 DNA를 복제하는 중합효소는 복사기에 해당한다. 단백질분해효소는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그 사이에 0.5㎜두께의 펩티드 젤을 둔 것. 그러자 기존 방법으로는 잘 자라지 않던
신경
세포가 젤로 침투하면서 왕성하게 세포분열했다. 연구자들은 “세포는 나노섬유를 세포밖 조직으로 인식해 실제 뇌에서처럼 분열을 일으킨다”며 “게다가 펩티드 골격은 시간이 지나면 생분해될 뿐더러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으면 진동이 전달돼 몸이 덜덜 떨리는데, 이 진동이 몸 전체의
신경
계를 자극함으로써
신경
계 질환을 치료하는 의료용 기구였다.“아! 아~! 도레미파솔라시도.” 자신의 목소리가 악기가 된다면 어떨까. 헤드셋을 착용하고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면 자신의 목소리가 컴퓨터 화면에 파장으로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해부학적 차이는 크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신경
회로의 성적 차이는 분명하다. 오늘날
신경
과학자들은 살아있는 뇌의 구조와 기능을 있는 그대로 실시간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 중 한 방법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촬영이다. 이를 이용하면 의미있는 말이나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뇌 부위가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