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이를 자동으로 병원에 전송했다. 심장박동이나 심전도도 같은 방식으로 병원에
전달
됐다.인체통신기술은 하나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만 정보를 주고받던 수준을 넘어 인간의 몸에서 수십~수백 개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다중접속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이 기술이 정착될 미래에는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교수는 “양성자가 또 하나의 새로운 신경
전달
물질일 가능성이 있다”며 “기존 신경
전달
물질이 신경세포에서 근육세포로 배출되면서 근육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 ...
영화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을 통해 바라본 보호색과 위장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캘거리대 연구팀이 국제저널 ‘동물행동’ 1월호에 발표했다. 색맹 원숭이는 뇌로
전달
되는 색 정보가 적어 형태나 윤곽을 더 잘 간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흰목꼬리감기원숭이는 색맹이라는 ‘특수한’ 눈으로 보면 숨어있는 곤충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는 뜻이다. 마치 영화의 주인공이 ‘돌멩이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박사후연구원 시절 NMR을 뒤로 하고 X선 결정학에 뛰어들었다. 그 당시 그의 지도교수는
전달
RNA(tRNA)의 구조를 밝혀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김성호 교수다.파장이 짧은 X선을 이용하면 NMR로 보기 어려운 큰 단백질의 구조를 밝힐 수 있다. 또한 X선을 이용하면 단백질의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인정돼 지난해 저널 ‘유전자, 뇌, 행동’에 논문이 실렸다.PLCβ1은 지질을 분해해 신호
전달
물질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효소 단백질이다. 신 박사는 “PLCβ1이 결여된 생쥐가 간질 증상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1997년 ‘네이처’에 보고한바 있다”며 “이단백질은 10년 만에 정신분열증에도 관여한다는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휴대전화로 보낸 문자메시지나 사진, 동영상, 음악파일을 웹사이트나 이메일로
전달
해주는 서비스 휴대전화 번호를 주소로 하는 무선망과 IP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해 IP주소를 가상의 휴대전화 번호로 바꾸고, 이 번호를 휴대전화의 무선망과 연결해주는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을 합성한다.tRNA*단백질의 원료인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하는
전달
RNA.▼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씨가 해안에서 바가지로 퍼담은 기름은 양동이에 모인 뒤 자원봉사자들의 손에서 손으로
전달
됐다. ‘저렇게 느린 속도로 언제 기름을 모두 걷어낼까’라는 생각은 섣부른 착각이었다. 한 바가지의 기름이 거대한 ‘인간띠’를 거치며 한곳에 모이자 금세 수 톤에 이르렀다.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뤄지는 유전자와 단백질 사이의 작용을 조절하는 수준을 넘어 세포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
하는 유전자회로를 만드는 수준에 이르렀다.미생물은 시간에 따라 세포의 항상성을 스스로 조절하는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주변에 같은 종류의 미생물이 있는지 알아내 서로 증식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사람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주변의 따뜻한 관심과 이해라는 사실을 주인공의 입을 통해
전달
한다. 사실 의학의 목적도 그와 다르지 않다. 바쁜 세상살이를 핑계로 주변을 둘러볼 여유조차 없는 현대인과 1분 진료에 쫓기는 의사들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영화다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