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민족은 그 음식에 적응하며 자신의 게놈을 변화시킨다.최근 부모의 식습관이 자식에게
전달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런던 킹스칼리지대의 팀 스펙터 교수팀은 쌍둥이 3000명의 식습관을 분석한 결과 일란성 쌍둥이가 이란성 쌍둥이보다 식습관이 비슷할 확률이 높고 일란성 쌍둥이는 부모의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존재하며 이들이 열운동을 한다는 것을 실증한다아드레날린 등의 아민류 호르몬, 신경
전달
물질의 기능이 있다시각을 담당하는 대뇌피질이 그 기능에 따라 5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는 점이 밝혀짐에 따라 각 영역에 숫자를 붙여 표현하게 되었다 이중 V1은 망막에서 들어온 시각정보를 모아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주목받기 시작했거든. 썩지도 않고 쥐나 흰개미의 공격도 잘 막아냈으며 소리의
전달
을 막는 역할까지 했어. 그동안 건축자재로 주로 쓰이던 석면의 역할을 대체하기 시작한 거야. 게다가 1970년대 들어 석면이 폐암을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등장하면서 발포폴리스티렌에게 그자리를 내줬지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정보를 교환하면서 이온을 세포 안과 밖으로 이동시켜야하고 아세틸콜린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을 계속 만들어야 한다. 심장은 살아있는 한 뛰지 않으면 안 되고 콩팥은 정수기처럼 체액을 거르는 작업을 멈출 수 없다.인류가 직립하면서 손이 자유로워졌지만 거기에 맞춰 뇌가 커지는데 그토록 오랜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그리고 이 신호를 수신한 잠수함은 초장파 통신이 가능한 물 높이로 부상해 작전 내용을
전달
받는다잠수함은 수중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관성항법장치(INS)를 이용해 항해한다 그리고 수면 가까이에 부상하면 정확한 위치보정을 위해 ... ...
양방향메시징서비스(MO)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개인이 휴대전화로 보낸 문자메시지나 사진, 동영상, 음악파일을 웹사이트나 이메일로
전달
해주는 서비스. 휴대전화 번호를 주소로 하는 무선망과 IP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해 IP주소를 가상의 휴대전화 번호로 바꾸고, 이 번호를 휴대전화의 무선망과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내막에 있는 광수용체인 멜라놉신이 빛을 감지해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교차상핵으로
전달
하면 시신경 교차상핵이 하루 주기(24시간)에 맞춰 생체반응을 조절하는 뇌영역으로 정보를 보낸다. 사람은 시계를 보지 않고도 하루주기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외국 여행을 할 때 처음엔 시차 때문에 ... ...
아침에 기분좋게 깨워주는 친구 닥터라이트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방법으로는 빛을 이용한 치료가 있다. 1만 럭스 이상 밝은 빛을 일정한 주기로 쏘여 신경
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세로토닌을 활성화시키면 신진대사가 촉진돼 우울증 치료는 물론 집중력 강화, 치매, 비만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빛 치료를 착안해 만든 제품이 ‘던시뮬레이터’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달팽이관으로 이동한 뒤 여기서 소리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신호가 뇌로
전달
된다. 하나이비인후과 이장혁 원장은 “달팽이관 속에 있는 외유모세포가 망가지면 소음성 난청이 발생한다”며 “외유모세포가 붙어 있는 달팽이관 속 기저막은 위치에 따라 각각 20~2만Hz의 소리에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어나는 과정은 이렇다. 자외선의 영향으로 피부 표피에 위치한 세포가 신호
전달
물질을 내뿜으며 혈관 속 T세포를 진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자외선을 받아 변형된 피부 단백질이 항원으로 돌변하고, 표피에 존재하던 랑게르한스세포가 항원을 잡아 T세포에게 운반한다. 세포의 면역기능을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