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환경이 달라질 것에 대비해 3주 이상 전지훈련을 거쳤다. 시합 현장에서도 최소한 오차를
줄
이기 위해 다양한 미션을 수시로 시행했다. 연습장과 달라진 환경에 맞춰 적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시스템 안정성 역시 우승에 큰 역할을 했다. 실제로 로봇이 연습 때는 미션을 잘 수행하다가 현장에선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살피고 있지요. 인공섬 기술을 발전시키면서 동시에 해양 환경에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연구하고 있답니다.다른 사람들은 어떤 인공섬을 만드는지 살펴보길 잘했어! 내 섬에는 이 모든 것을 다 섞어서 만들 테야! 물 위에 떠 있는 곳에서 생활하고, 에너지 저장고도 만든 뒤 ...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타르탈리아는 결코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타르탈리아에게 근의 공식이란 누구에게도
줄
수 없는 자신만의 절대반지였죠. 하지만 한 번의 실수가 그를 파멸로 이끕니다.1539년 의사이자 수학자였던 지롤라모 카르다노가 근의 공식을 배우고자 타르탈리아를 찾아옵니다. 타르탈리아는 당연히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얇지만 튼튼해요. 분자들이 강력한 공유결합으로 이어져 있어 강철만큼 강하지만 고무
줄
처럼 탄력있어요. 빛이 수 nm 정도는 쉽게 통과하기 때문에 투명하기까지 해요, 더 빠른 컴퓨터보다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스마트폰이 필요한 시대에는 2차원물질이 안성맞춤인거죠.샌드위치처럼 겹치면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하버뷰 화상센터에서는 눈 밭으로 뒤덮인 가상현실을 보면서 치료를 받으면 고 통을
줄
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가상현실에서 느 끼는 실재감이 클수록 기억, 고통, 감정과 관련있는 후 대상피질이 활성화되면서 가짜 기억(눈밭)이 떠오르 기 때문이다. 그것도 HMD로 보면 일반 화면으로 볼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올해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망원경인 ‘허블우주망원경’이 우주로 발사된 지 25주년이 되는 해라고 하더군. 세계 최초로 지구 밖의 천체를 본 나, 갈릴 ... 있고…. 친구들도 두근대는 마음으로 기대해 줘. 새로운 거대망원경들이 보여
줄
깊고 새로운 우주를 말이야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2020년 달을 탐사할 ‘로버(Rover)’의 시제품을 만들어 처음으로 공개했어요. 많은 과학자들과 기자들의 관 ... 대신 로버를 싣고 간 탐사선에 들어 있는 대형 전화기가 지구와 로버 통신을 도와
줄
거랍니다. 어때요? 2020년 로버의 활약이 정말 기대되지요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수학 시간엔 미터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선생님은 새 나라의 어린이는 미터법을 쓸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외국에선 미터로 거리를 잰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선 오랫동안 1자를 길이의 단위로 써왔다. 1m는 1자의 3배 정도다. 미터를 이용해 넓이를 재는 법도 배웠다. 우리가 쓰는 평은 정사각형 ... ...
[생활] 대구 대명중 김동우 선생님 친구와 함께 걷는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조를 오가며 어떻게 문제를 풀고 있는지 지켜보고, 이따금 학생들의 질문에 답을 해
줄
뿐이었다. 칠판에 적은 문제를 학생들이 풀면 선생님이 올바른 풀이과정을 알려주는 익숙한 풍경과는 거리가 멀었다.같은 조라도 문제를 푸는 모습은 저마다 달랐다. 능숙하게 거듭제곱을 이용해 면발의 개수를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숙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셰크먼 교수는 이런 이야기를 한국 학생들에게 들려
줄
것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해외에서 제가 본 한국 과학자들 중에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최고 수준에 도달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이번에 만날 학생들 중에도 생명공학도로서의 꿈을 꾸는 학생들이 있겠죠. 제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