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쌓으면 줄눈이 좀 더 복잡하게 생긴다. 이를 ‘막힌 줄눈’이라 한다. 막힌 줄눈이 통 줄눈보다 훨씬 튼튼하다.제한된 재료로 연필꽂이 설계하기“설계는 언어예요. 누구나 설계 도면을 보고 어떻게 생긴 건지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죠.”조원용 건축사는 설계의 기초에 관해 이야기하며 ...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각종 전기장비들이 100m 가까이 연결돼 있었다. 프로펠러만 있었다면 진짜 잠수함 내부인 줄 착각할 뻔 했다. 9일 찾아간 경남 창원의 전기선박 육상통합시험장(LBTS, Land Based Test Site)은 실제 잠수함보다 더 잠수함처럼 돌아가고 있었다.기민하게 추진전동기“여기서 사진 찍으시면 안 됩니다” ... ...
- 스페인 호빵장인 ‘레알 파시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썰렁홈즈를 쳐다보며 말했다.“나는 후계자 테스트를 통과한 사람에게만 비법을 전수해 줄거야. 단 통과하기만 하면 평생 내 호빵을 먹게 해 주지.어디 한번 도전해 보겠나?”미션1 창고에서 밀가루 꺼내오기“저기…, 그런데 다른 지원자는 없나요?”레알 파시다라는 막 질문을 하려는 썰렁홈즈의 ...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신고해 달라고 요청하세요. 그러면 곧 소방차가 도착하고, 소방관들이 안전하게 구조해 줄 거예요.Q. 미래의 소방관을 꿈꾸는 어린이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소방관은 언제 어디서나 위험한 상황이 생기면 가장 먼저 달려가는 슈퍼맨이에요. 위험한 상황에서 나보다 다른 사람의 생명을 먼저 ... ...
- [수학뉴스] 수의 크기를 아는 병아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결과를 미국의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뒤뚱뒤뚱 걷기밖에 못하는 줄 알았던 병아리가 수 개념을 알고 있다니 참 놀라운데요. 실험에 참여한 병아리를 직접 만나봤습니다.안녕하세요, 최근 ‘수 크기 비교 능력’이 밝혀져 세상이 떠들썩합니다. 어떻게 그 능력을 발견하게 ... ...
- Part ➋ 숲에 닥친 위기, 수학으로 막아라!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사실을 알아냈다. 이 결과를 이용하면 숲에 나무를 새로 심을 때 병충해 피해를 최소로 줄이는 계획을 세울 수 있다.하지만 이미 무성한 숲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나무를 새로 심을 수 없다. 따라서 병충해의 전파 방향과 범위를 예측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 ...
- [지식] 곰팡이로부터 명약을 떠올리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세균학자와 함께 곰팡이 연구를 한다. 최대한 적은 양으로 사람에게 더 큰 이득을 줄 수 있는 곰팡이 균주를 찾거나 그 효과를 예측할 때 수학이 쓰인다.한편 사람에게 해로운 곰팡이를 연구하는 수학자도 있다. 곰팡이의 번식을 예측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예를 들어 멕시코의 산 루이스 ... ...
- [재미] 차가운 숫자가 말해주는 사랑의 조건 無조건, 자신감, 솔직함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연애 세포마저 사라지는 건 아닐까?’하는 걱정마저 듭니다. 이런 걱정을 한방에 날려줄 합리적이고도 냉철한 연애상담이 찾아 왔습니다. 지금부터 시작합니다.안녕하세요? 이군, 잘 지내셨나요?네.하하. 더 추워지기 전에 바로 사연으로 들어가겠습니다.안녕하세요?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기원뿐만 아니라 지구를 포함한 행성의 물의 기원에 대해 좀 더 확실한 대답을 해줄 것이다.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원소는 무엇일까. 일단 가장 많은 물질은 물이다. 물은 몸의 60% 이상을 구성하고 있다. 당연히 물을 구성하는 원소인 수소와 산소가 우리 몸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다. 물은 산소 원자 ... ...
- [과학뉴스] 거미 독으로 만성 통증 치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속 스파이더맨이 세상을 구하는 것처럼, 거미가 인간을 만성 통증으로부터 해방시켜줄 날이 올까. 호주 퀸스랜드대 클렌 킹 교수팀은 거미에서 뽑아낸 독이 고통을 전달하는 뉴런인 ‘Nav1.7’의 채널을 막는 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 Nav1.7은 몸에서 발생한 통증을 뇌까지 전달하는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