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d라이브러리
"
흡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진화론 대폭 수정 돼야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초고밀도일 경우는 전자가 카온이라 불리는 음(-)하전 입자로 변형돼 양성자가 이를
흡수
하지 못한다는 것. 이 현상은 전자가 양성자속으로 들어가 중성자를 만들기 직전에 일어난다. 따라서 붕괴하는 별의 핵에는 양성자 중성자 카온이 혼재한다는 것. 이를 브라운은 '뉴클레온 스타'라고 부른다.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온난화했는데, 당시 세계의 바다에서 번성하고 있던 대량의 산호들이 이 이산화탄소를
흡수
해 주었으므로 지구생태계는 파멸을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자바해대를 형성한 화산활동은 플룸의 상승에 의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고 이 화산활동이 공룡들의 새로운 적응을 이끌어낸 것이라 한다면, ... ...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반사하던 조종실의 이중 유리가 조그만 평탄형 유리창으로 대치된 것이다. 레이더
흡수
물질 부착, 특수 바람막이 유리의 사용, 레이더 반사를 줄이는 독특한 형태의 설계 등도 최근 시도되고 있다. RAH-코만치(Comanche)가 아마도 최초의 저 탐지성 헬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헬기는 착륙장치와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예측한다. 이 순간에 발생한 중력파는 우주공간을 자유로이 여행하면서 어느 물질에도
흡수
되지 않고 우주 탄생의 초기 정보를 담고 있을 것이다. 이 중력파를 관측한다면 우주배경복사선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대수확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지금까지 드러난 확실한 중력파원은 앞에서 언급한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음파는 그 파장이 매우 길어서 멀리 까지 전달된다. 고주파 음파가 식물 등 장애물에
흡수
되어 버리거나 차단되는데 비해 초저주파는 거침없이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것이다. 만약 물 속의 동물이 초저주파 음파를 발생시켰다면 이 소리는 더 빠르고 멀리 전달 될 것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모든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부착하여 사용해도 충분하다. 특히 고무후드보다는 자작한 도화지 후드가 주변의 이슬을
흡수
하기 때문에 사진촬영에는 유리하다.■ 필름천체사진의 성공적인 촬영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대상에 알맞는 필름을 선택하는 것이다. 시판되는 필름들은 천체사진용은 아니지만 적절히 선택하여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과거 수십억년 동안 2백℃ 밖에는 식지 않았기 때문에 지구의 판운동은 지구가 태양으로
흡수
되는 약 50억년 후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주장한다.앞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해 명확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지질학자들, 특히 지구내부를 연구하는 지구물리학자들의 역할이 크게 기대된다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만드는 경쟁을 했다. 레이저파워를 강화하고 광로(光路)를 늘이며 미소진동까지도
흡수
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보하는 것이다.바이스는 간섭계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 빛이 두 장의 거울 사이를 같은 길로 통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몇번이나 꺾여서 반복하도록 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옵티컬딜레이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지상보다 10배가 크다. 이것은 빛이 지상까지 도달하는 동안 낮과 밤, 계절, 대기의
흡수
반사 등과 같은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지궤도상의 태양발전은 지상보다 무려 10배의 발전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림 1)은 지상과 정지궤도에서 태양에너지 밀도를 비교한 것으로 태양에너지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그다지 검지 않다"(Black holes arn't so black)는 호킹의 유명한 말은 블랙홀이 모든 것을
흡수
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때때로 내놓기도 한다는 뜻이다. 즉 '놀부 블랙홀'과 '흥부 블랙홀'의 양면성을 강조한 말이다.블랙홀을 엄청난 에너지 덩어리로 표현하는 것도 바로 여기에 근거를 두고 있다. 즉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