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75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창어 4호’ 인류 사상 첫 달 뒷면 착륙 성공(종합)
2019.01.04
심(深)우주에서 오는 0.1~40MHz 수준의 저주파 전파를 관측할 수 있다. 이런 약한
신호
의 전파는 대기권에 반사돼 지구에선 포착되지 않는다. 저주파 전파를 분석하면 별이 소멸하는 과정과 별과 별 사이에 있는 다양한 성간물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구와 직접 교신이 가능하지 ... ...
몸 상태 읽고 곧바로 치료하는 '올인원 칩'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들어오면 위가 움직이게 되는 걸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얻어 뇌에 배가 부르다는 전기
신호
를 보내 자동으로 음식 섭취를 막는 이식장치를 개발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달 17일자에 소개된 이 장치는 비만 치료에 쓰일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
달 뒷면 착륙, 인공혈액 수혈… 새해 인류의 새 도전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1
세계 과학자들은 톈옌을 이용해 고속전파폭발(FRB)과 성간물질에서 나오는 희미한
신호
등을 관측할 예정이다. 한편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필리핀 루손섬 등 동남아시아 섬 지역에서 고대 인류의 기원을 밝혀줄 다양한 화석을 많이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
국산 3000t급 잠수함 저소음 설계기술, 기계연 최우수연구성과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6년까지 선박을 대상으로 음향 시험평가를 10회 수행하면서 국내에서 한꺼번에 가장 많은
신호
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해군에 제공했다. 해군은 이를 바탕으로 수중에서 나는 주된 소음원들의 전달 경로와 비중, 음향을 퍼트리는 효율, 저소음용 음향 코팅재의 성능을 연구했다. 이 ... ...
무인잠수정·바다표범 빙하 연구 합동작전…축구장 3배 전파망원경이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우주 굉음’으로도 불리는 고속전파폭발(FRB)과 성간물질에서 나오는 희미한
신호
를 관측하게 된다. 한편 내년에 천문학자들은 미국 하와이 마우나키산에 건설될 예정인 ‘30미터망원경’ 프로젝트의 추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중국의 구형 전파망원경(FAST) ‘톈옌(天眼)’. 지름이 500m로 세계 ... ...
이온풍 항공기부터 드론 교통로까지,'항공 무식자'를 위한 최신 안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25
필요한 체계와 개념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단계”라면서 “앞으로 SF 영화처럼 길과
신호
를 만들면, 안전하고 빠르게 하늘길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 어린이과학동아 24호(2018.12.15 발행) 라이트 형제도 깜짝 놀란 드론 택시의 ... ...
스페이스X 軍 위성 발사 시장 진출의 첫발 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신호
세기도 8배나 세다. 앞으로 2만200km 궤도에서 15년간 머물며 전투기와 함정에 위치
신호
를 제공하게 된다. 스페이스X는 이번 위성 발사로 군 위성 발사 시장에 본격적인 첫발을 내딛게 됐다. 스페이스X는 2014년 미 공군과 14조 달러 규모의 ‘GPS III 프로그램’ 계약을 맺었다. 내년 중순 다음 ... ...
개미떼처럼 스스로 무리를 이루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2014년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은 1024대로 구성된 군집로봇 ‘킬로봇’이 다른 로봇과
신호
를 주고받으며 별 모양의 군집 구조를 이루는 실험을 진행했다. 당시 로봇들은 서로 간 거리를 제한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군집 구조 형성은 중앙의 통제를 따랐다. 연구진은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의 ... ...
배아 발생 과정 동영상처럼 보는 기술, 올해 최고 과학 성과
2018.12.21
물질과 부딪힐 때 내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 5160개를 설치했다. 2017년 9월 22일 중성미자
신호
가 감지됐고 그 경로를 조사한 끝에 이 중성미자의 발원지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 중성미자는 약 350조㎞ 떨어진 TXS 0506+056이라는 블레이자였다. 블레이자는 중심부에 태양 질량보다 수백만 배 큰 거대 ... ...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ISS) 역할을 하는 '딥스페이스게이트웨이(DSG)'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우주에서 오는
신호
에 기반한 천문 연구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남극의 과학 연구시설인 ‘아이스큐브’ 과학자들은 남극 빙하 아래에 광센서 5160개를 매단 줄을 심어 놓고, 아주 드물게 수소나 산소의 원자핵 등과 충돌해 모습을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