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7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해 70만명 죽는데…항생제 발굴 연구 133건 출구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형질을 획득해 진화한다. 따라서 진화하는 세균을 망가뜨리거나 약하게 만들 새로운
신호
체계를 찾고, 이를 정확히 따라가 공격하는 물질을 찾는 것은 기본이다. 또 사회에 얼마나 많은 내성균이 퍼져있는지, 얼마나 빠르게 생성되는지 폭넓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세균은 모든 곳에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배양 추출액 성분조사를 했다.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 A 2차원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신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연합뉴스] 이를 바탕으로 희귀 방선균(Catenulispora sp. KCB13F217) 배양액으로부터 4종의 신규 화합물을 찾아냈다. 새 화합물에는 희귀 방선균 속명을 따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 A∼D' ... ...
나노영챌린지 최우수상에 이우석 김한은 김동규씨
과학동아
l
2018.12.06
웨어러블 스트레인 센서’는 생체
신호
를 측정하는 센서다.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 없이
신호
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게 최대 장점이다. 이들 팀은 지난 11월 22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18 나노융합성과전’에서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소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 ...
암흑물질 '윔프' 발견 오류 가능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연구는 윔프가 암흑물질이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 아니다. 20년 전 관측한 입자
신호
가 윔프가 아니었음을 확인해, ‘진짜 암흑물질’을 찾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쉽게 말하면 암흑물질의 춘추전국시대가 다시 열리는 셈이다. 현재 암흑물질 후보에는 윔프 외에도 보다 가볍고 매우 많은 ... ...
“성간천체 ‘오무아무아’ 외계 인공물 아닐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이번 연구로 일단 가능성은 줄어든 상태다. 하프 연구원은 “비록 오무아무아의 인공
신호
검출에는 실패했지만, 이번에 습득한 기술로 미래의 성간 천체나 태양계 내 소천체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며 “특히 태양계 내 소천체는 태양계 밖에서 보낸 탐사선이라는 가설이 ... ...
새로운 중력파 4건 추가 검출…중력파 천문학 시대 활짝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블랙홀은 빛이 나오지 않아 전자기파 관측이 불가능했지만, 중성자별은 가능해 다중
신호
관측이 가능했다. 그밖에 이번에 새로 발견한 GW170818은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25억 년 가야 하는 거리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방위각을 밝히는 등 이제까지 가장 정확하게 위치를 추정하는 데 성공한 관측 ... ...
본격 의학 연구로 영역 넓히는 구글AI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다양한 결합구조를 통해 신체의 운동을 조절하고 호르몬의
신호
전달자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단백질이 사람의 몸속에서 자신만의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이 단백질 접힘이다. 잘못 접혀진 단백질 구조 때문에 알츠하이머 치매나 파킨슨병 같은 뇌질환이 ... ...
슈퍼박테리아, 정면대결 대신 힘빼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공격한다. 이번에 찾은 잔소안제롤은 황색포도상구균이 독성인자를 만들 때 진행되는
신호
체계의 핵심 단백질을 망가뜨린다. 실제로 이 균에 감염된 꿀벌부채명나방에게 잔소안제롤를 주입했고, 다시 정상으로 회복하는 것을 확인했다. 김 소장은 “독성을 완전히 잃은 세균을 면역세포들이 쉽게 ... ...
'여우각시별' 드라마 속 웨어러블 로봇팔 현실로 성큼
과학동아
l
2018.12.01
환자들이다. 연구팀은 그동안 동물을 이용해 뇌가 척수를 통해 다리를 움직이도록
신호
를 보내는 과정을 정교하게 밝혀냈다.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신경에 정확하게 순차적으로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환자들의 척수에 전기자극을 주는 무선 기기를 이식했다. 그 결과 세 명 모두 일주일 만에 ... ...
日도 희귀질환에 年 67억원 투자하는데...국내는 수십 분의 1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8.11.30
함께 진단한 결과 MARK라는 세포 내
신호
전달 시스템 중 일부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서, 이
신호
전달 시스템이 한없이 가동되며 암세포를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를 막는 약 베누라페닙을 투약해 뇌 속 종양을 깨끗이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마쓰바라 소장은 “의료인의 직관은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