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9
있습니다. 특히 처벌 중에서도 가장 강한 혐오 자극인 체벌은 잘못된 행동을 일시적으로
억제
할 뿐 바람직한 행동이나 태도를 이끌어 내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체벌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체벌은 공포와 불안감을 일으켜 아이의 행동을 즉시 바꿉니다. 또한 본보기 체벌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억제
제를 같이 투여할 경우 항암제 부작용이 훨씬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
억제
제가 임상에 적용돼 현재 쓰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우리가 약물로 인해 겪는 부작용 가운데 적지 않은 부분이 이런 대사과정의 혼란에서 비롯된 것이고 이를 정리하는 게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예다. ... ...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
과학동아
l
2017.08.08
뇌에 있는 긍정적인 회로를 활성화해 공부에 도움이 되거든요. 반대로 실망감, 패배감은
억제
성 신경계를 활성화해 공부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6 몸을 쓰지 않으면 뇌가 고생! 운동을 하면 뇌로 가는 혈류가 증가해 뇌기능이 좋아집니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정신과 존 레이티 ... ...
당신이 공포영화를 못보는 ‘겁보’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보이지도 않고, 심지어 비커 위에 올라가 놀기도 했다. 연구진은 추가적으로 ASIC1a를
억제
한다고 알려진 타란툴라의 독을 투여했을 때도 정상 쥐가 용자로 거듭남을 발견했다. 웨미 연구원은 “약물치료를 통해 선천적 공포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 ...
발달 장애 비밀 풀 ‘인공 뇌’ 제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만들어진
억제
신경세포가 대뇌 피질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했다. 피질로 이동한
억제
신경세포는 이미 대뇌 피질에 있던 활성 신경세포와 함께 대뇌의 신호를 전달했다. 연구진이 제작한 뇌 오가노이드에서 신경세포가 작용하는 모습. - 예일대 제공 연구를 이끈 박인현 예일대 유전학과 교수는 ... ...
파리협정에서 체결한 기후변화 목표치 지켜질 확률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2°C에서 최대 4.9°C가 될 것이며, 파리협정의 기본 목표치인 2°C가 지켜질 확률은 5%, 최대
억제
목표치인 1.5°C를 달성한 확률은 단 1%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랩터리 교수는 “인구와 산업적 측면뿐만 아니라 최근 몇 년간 각 국가가 제시한 탄소 저감 정책과 최근에 달성한 효과를 포함해 분석한 ... ...
[카드뉴스] 잠을 잊은 현대인,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29
깨트려서 수면 패턴을 파괴하고 만성적인 수면 장애를 일으키며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
한다는 것이 주 이유입니다. 멜라토닌이 줄면 에스트로겐 농도가 높아지는 등 호르몬 교란을 일으켜 암 발생률을 높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유방암입니다. 밤근무를 연달아 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방암 ... ...
파리협정이 빠뜨린 것? 기후변화에 대한 명확한 기준!
동아사이언스
l
2017.07.25
목표 달성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RCP 8.5 시나리오 역시 21세기 중반이면 이미
억제
목표치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할 것으로 확인됐다. 슈어러 교수는 “인위적 요인만 고려했을 보다 자연 요인까지 포함했을 때 온도 상승이 빨라진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 ...
[카드뉴스]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22
비만 위험도도 높아집니다. 잠이 부족하면 식욕을 줄이는 호르몬인 렙틴의 분비가
억제
돼 식욕이 증가하고, 깨어있는 시간이 길수록 먹을 기회도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일본의 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남녀 모두 수면시간이 7시간일 때 사망률이 가장 낮았으며, 수면시간이 4시간인 그룹은 7시간인 ... ...
[퀴즈] 물리적 거세는 화학적 거세보다 효과가 좋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화학적 거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화학적 거세는 약물을 통해 성충동을
억제
하는 치료 방법으로 약물 투입 후 2주 이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죄질이 안 좋은 성범죄자에게 물리적 거세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물리적 거세가 화학적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