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식품 삐딱보기] 가르시니아, 카테킨은 정말 다이어트에 도움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foodsafetykorea.go.kr)에도 이 물질의 기능은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억제
하여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줌’으로 표시돼 있습니다. 가르시니아와 함께 1+1 조합으로 인기가 있는 카테킨은 녹차에서 추출하는 성분입니다. 식품안전나라에는 카테킨이라기보다는 녹차추출물로 분류가 되고요. ... ...
최악의 미세먼지-최고의 '환경공약'…미세먼지 대책 놓고 대선주자들 '고심’
포커스뉴스
l
2017.03.28
" dataend="imgend" img_source="P" attribute="" datasource="F" dataorg="2016122101103919817" datatype="newsImg" /> (서울=포커스뉴스) 대선주자들이 미세먼지에 주목하고 있다. 28일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전국에 지역별로 발효된 미세먼지 특보(주의보·경보) 횟수는 129회로, 지난해 같은 기간 70회보다 84%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각지에서 대형 산불이 일어나는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따라서 산불 정책도 무조건적인
억제
전략에서 필요하다면 적절한 규모의 불을 일으켜 바람을 미리 빼면서 동시에 생태계 다양성도 얻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고 ‘사이언스’ 논문의 저자들은 주장하고 있다. 실제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 ...
[카드뉴스]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3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딸기에 들어있는 구연산은 칼슘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
하고 비타민C는 철분을 몸에 흡수되기 쉬운 형태로 환원시킵니다. 따뜻한 봄볕 아래에서 꾸벅꾸벅 졸음이 밀려올 때, 싱그러운 딸기 한접시 어떠신가요? - 참고: 과학동아 2004년 04월호 '빛깔 좋은 딸기가 ... ...
[카드뉴스]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
동아사이언스
l
2017.03.21
수준으로 급격하게 발달합니다." - 김영화 강동소아정신과의원 원장 이 시기엔 판단과
억제
를 담당하는 전두엽이 덜 발달하고 감정을 담당하는 편도체가 발달해 감정적으로 행동하기 쉽습니다. 요즘엔 교육 기간이 길어져 20대 중반까지 사춘기가 이어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중2병이 나타나는 시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
억제
호르몬 찾았다!
2017.03.21
RNA와 DNA를 이루는 염기의 하나인 아데닌(adenine)에 리보오스가 붙어 있는 아데노신은
억제
성 신경전달물질로 뉴런이 피로해졌을 때 이를 회복시키는 작용을 한다. 일을 많이 하면 피곤하고 졸리는 것도 뇌세포에 아데노신 농도가 높아진 결과다. 뉴런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달라붙어 이런 작용을 ... ...
암 정복 화학치료법의 4가지 유망 후보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ARPi가 처음 주목을 받은 건 지금으로부터 12년 전이다. PARP를
억제
했을 때 유방암과 난소암 등을 유발하는 유전자 BRCA1과 BRCA2에 돌연변이가 생긴 세포들이 다른 보통 세포보다 1000배 이상 민감하게 PARPi에 반응한다는 사실이 처음 발견됐다. 이는 PARP뿐만 아니라 BRCA ... ...
몽골 전통 약재 '피뿌리풀' 상처치유 효능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7.03.16
8종이 상처 치유 효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성분은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은
억제
하고 각질세포의 이동은 촉진시켰다. 뿐만 아니라 피부의 섬유아세포가 더 많은 콜라겐을 합성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 살이 잘 돋아나도록 돕는 셈이다. 기존 상처 치료제의 원료 ‘병풀’의 ... ...
난치성 ‘류마티스’ 치료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15
줄이거나, 과하게 활성화되지 않도록 막는 것이 치료법이다. 기존 치료법은 소염제, 면역
억제
제 등으로 증상을 완화할 뿐 근본적인 치료가 아니며, 스테로이드 제제를 장기간 복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스테로이드를 오래 쓰면 쉽게 살이 찌며 골다공증이 심해지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 ...
[카드뉴스] 야식의 기준
동아사이언스
l
2017.03.14
하는 혈청 코티솔이 분비되어 잠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과 식욕을 낮추는 렙틴이
억제
됩니다. 밤이 될수록 정신이 멀쩡해지고 저녁을 먹은 뒤 배가 고프지 않아도 ‘뭔가 먹을 것’을 찾게 되는 것이 호르몬 작용 때문이라는 것이지요. 알버트 스툰커드 미국 펜실베니아대 교수는 아침엔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