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억제"(으)로 총 2,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세포 되기 전 퇴치” 종양줄기세포 찾아 없애는 물질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8.02.07
-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실험동물에 투여한 결과, 종양줄기세포가 죽으며 암 발생이 억제됐다. 장 부연구단장은 “종양줄기세포 내 발현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최초의 형광물질”이라며 “향후 암 치료 약물 개발 가능성을 열어주는 성과”라고 말했다 ... ...
- 추우면 살 빠진다? 사실일까?동아사이언스 l2018.02.06
- 영국 켐브리지대와 일본 도호대학 공동연구팀은 지방이 에너지를 소모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단백질 ‘sLR 11’에 주목했다. sLR 11은 지방 세포가 과도하게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지방의 부피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연구팀은 sLR 11이 지방세포에 의해 만들어지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약물이 모든 세포에 영향을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대신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노화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유전자의 변이를 명쾌히 규명할 수 있다면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즉 사람의 수정란을 유전자편집으로 벌거숭이두더지쥐화 한다면 극단적으로 노화 속도가 지연되는 신인류가 탄생할지도 ... ...
- 타이레놀, 아스피린… 어떤 진통제 먹어야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8.02.02
- 가진 진통 능력을 이용한다. 우리 몸은 통증을 느낄 때 ‘엔돌핀’이라고 부르는 이를 억제하는 호르몬을 만들어낸다. 중뇌와 척수 부근에 엔돌핀과 결합하는 수용체(오피오이드 수용체)가 많이 분포한다. 오피오이드는 마치 엔돌핀인 척 이런 수용체에 결합해 감각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의 ... ...
- 국내 발굴 유전자 ‘삼돌이’, 자폐증 원인 규명에 한 발 다가서동아사이언스 l2018.01.31
- 바닥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보통은 10분이면 다시 돌아다니지만, 삼돌이 유전자가 억제된 동물은 불안상태가 해소되지 않아 계속 바닥에 움츠리고 있다. 고소공포증 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 PNAS 제공 그 결과, 삼돌이가 없는 동물이 불안함이나 고소공포증을 시험하는 실험에서 감정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사실이 밝혀졌는데 그 메커니즘은 달랐다. 즉 RT027은 treR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 전사억제력이 떨어진 결과이고 RT078은 ptsT 유전자를 획득해 트레할로스를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 결과다. - ‘네이처’ 제공 트레할로스 대사 과정에서 독소 많이 만들어져 그렇다면 트레할로스에 민감한 ... ...
- 수술 없이 면역력 높여 주는 정맥주사로 암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9
- 암세포가 자라고 있는 쥐에게 정맥주사로 나노입자를 투여한 결과, 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를 맞지 않은 쥐의 경우 18일 만에 암 조직의 부피가 10배가 된 반면, 같은 기간 주사를 맞은 쥐의 몸에서는 암세포가 지속적으로 줄다가 완전히 제거됐다. 처음 생긴 암 조직을 ... ...
- 중국, 세계 첫 영장류 복제 성공…신약 개발·뇌 연구 앞당길 듯동아사이언스 l2018.01.25
- 임신 가능성도 높아진 셈이다. Kdm4d mRNA는 DNA가 실처럼 감겨 있는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을 억제해 준다. 연구진은 핵을 제거한 난자에 원숭이 태아의 피부세포를 융합해 수정란을 얻은 뒤, 21마리의 대리모 원숭이에게 평균 3~4개씩 총 79개를 이식했다. 그 결과, 21마리 중 6마리의 자궁에 수정란이 ... ...
- 유방암 표적치료효과 높였다… 면역저하 없애는 신물질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8.01.22
- 효율이 급증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종양 크기가 허셉틴만 사용했을 때의 약 3분의 1로 억제됐다. 심한 유방암을 앓고 있는 실험쥐에 허셉틴만 처방했을 때는 60일 뒤에 모두 죽었지만, A66을 함께 처방한 경우에는 100일이 지나도 절반 이상이 생존했다. 박 교수는 “허셉틴의 유방암 치료 효과를 ... ...
- 술고래 아빠의 변명, 근거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2018.01.20
-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VTA에서 DA을 만들어내는 신경세포 위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억제한 뒤 알코올 반응성을 측정했다. 이를 통해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없는 쥐에서 술을 더 적게 먹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즉 에스트로겐을 뇌에서 인지할수 있는 쥐가 술을 더 많이 먹는다는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