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52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세포, 암 도와 병 악화시키기도
동아사이언스
l
2017.12.15
면역치료제는 인체가 가진 면역력을 십분 활용해 암과 같은 질병을 물리친다. 면역세포를 활용한 이런 방식은 그러나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 갑상샘기능항진증 등 80여 개 질환이 있다. 현재는 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지 못하고 면역력을
억제
하는 약품에 의존해 증상을 완화할 뿐이다. ... ...
북유럽신 토르를 막으면 암도 고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알아봤다. 제브라피쉬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THOR가 적으면 폐나 피부에서 암의 발달이
억제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THOR를 없애면 RNA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활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암의 증식과 발달을 막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RNA가 안정화된 뒤 DNA에 정보를 전달해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예측(다들 과학논문에 실린 내용이다)은 의미가 없는 말이라는 것이다. 물론 최근 노화를
억제
하거나 되돌리는 연구가 한창이지만(구글도 뛰어들었다) 언제 이런 약물이나 치료법이 임상에 적용돼 효과를 볼지는 아직 미지수다. 예를 들어 지난 2014년 ‘젊은 피’ 회춘 동물실험이 화제가 됐다. 즉 ... ...
이종장기이식 10년 내 상용화 문턱 넘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1
있다. 지난 2015년에는 당뇨병을 앓고 있는 영장류에 췌도를 이식해 1000일 동안 면역
억제
제의 도움 없이 정상혈당을 유지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박 단장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면역거부반응 없는 맞춤형 장기를 생산하는 기술은 아직 초기연구 단계이며, 동종장기이식은 공여자부족 문제가 ... ...
바이오인공장기ㅣ“의사선생님, 제 장기는 새 것으로 교체해 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2.06
돼지 각막 전층을 영장류에 이식시켜 6마리 모두에서 6개월이상 면역
억제
제 시력을 유지시키는 데 성공했다. 세계 최정상급 기술력으로 평가된다. 2016년 2월 중국에서 돼지의 각막을 이식받은 14세 소년이 일주일만에 시력이 일부 회복됐다는 발표를 두고 '이미 사람에까지 적용한 중국이 가장 ... ...
지갑보다 마음이 먼저 열리는 프로덕트 RED
2017.12.01
아이들이 HIV를 갖고 태어나는 데에 있습니다. 하루에 한 알씩만 먹으면 이 바이러스를
억제
하고, 전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 약은 하루치가 30센트밖에 안 됩니다. 지난해 프로덕트 레드에 참여한 앱 개발사들의 “우리 앱 하나를 팔면 65일치 약을 살 수 있다”는 말이 상당히 충격적이었는데, ... ...
[카드뉴스] 재난은 우리를 어리석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5
패닉과 이타적 행동은 서로 경쟁합니다. 한쪽 행동이 활성화되면 다른 행동은
억제
되죠. 다만 드물기는 하지만 재난에서는 어리석은 영웅, 무모한 영웅도 나올 수 있습니다. 잘못된 지도자가 선택한 행동은 매우 치명적인 재앙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리더가 훌륭한지 아니면 바보 같은지는 재난이 ... ...
[카드뉴스] 옆집 할아버지는 왜 항상 화가 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1.23
‘자기절제’로 요약됩니다. 목표를 세우고 전략을 짜며 목표달성을 위해 절제할 사안을
억제
합니다. 따라서 전두엽이 고장 나면 자기만 생각하거나 염치가 없어지는 성격이 나타납니다. 또 주변에 휘둘리거나 자기절제를 못해 욱하는 마음에 폭력적으로 변하기도 하지요. 1984년 미국에 사는 ... ...
HIV 퇴치 첫걸음... 효소 반응 쉽게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3
내 반응에는 대부분 효소가 관여한다. 효소의 기능에 따라 반응이 잘 일어나기도 하고
억제
되기도 한다. HIV처럼 치명적 질병이 발생하는 과정에서도 효소는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 효소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기술은 생체 반응 연구에 반드시 필요하다. 연구팀은 헤어핀 자기조립 반응이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세포사멸을
억제
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
할 경우 암세포의 증식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들은 기존 약물 가운데 그런 작용을 하는 약물을 찾았고 구충제인 이버멕틴이 걸렸다. 원래 이버멕틴은 무척추동물(기생충)의 신경세포와 근육세포의 막에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