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52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안 나는 '망가진 모낭'도 회복...탈모 치료 새 가능성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0
연구팀은 이 물질을 인간 모낭 세포와 쥐 세포에 주입한 결과 실제로 방해꾼 단백질이
억제
되고 머리카락이 빠르게 회복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특히 모낭을 만드는 모낭줄기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며 "줄기세포가 활성화되면 머리카락의 ‘뿌리’인 모낭이 새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두 방에서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봤다면 백색광 조명 방이 청색광 조명 방보다
억제
를 더하면 했지 덜하지는 않을 것이다. 백색광 방의 경우 멜라놉신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파란빛의 양은 똑 같고 여기에 녹색빛과 빨간빛이 더해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반면 파란빛에 녹색빛과 빨간빛이 ... ...
뼈 생성 돕고 동시에 소실 막는 골다공증 치료제 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2
골모 세포의 분화를 촉진해 뼈를 만들게 하면서 동시에 뼈를 없애는 파골 세포의 기능을
억제
시킨다. 특히 연구팀이 난소를 적출한 쥐한테 이 물질을 투여하자 골모 세포 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사람의 경우 폐경 후 여성의 약 30%가 난소에서 제대로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아 골다공증이 ... ...
3D프린트로 뽑아낸 비밀의 뇌 신경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7.11.12
성상교세포에서 생성된 NL-2 단백질을 없애면 시냅스 틈 사이의 신경세포 간 상호작용이
억제
된다는 것도 알아냈다고 해요. 스토그스딜 박사는 “성상교세포의 형성과 시냅스형성과정이 뉴로리긴족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한 것”이라며 “성상교세포가 없어지는 질병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가닥에 티민(T) 대신 아데닌이 들어와 결국 A에서 T로 바뀌는 변이가 일어난다. TP53 같은 암
억제
유전자에 이런 변이가 일어나면 암이 생길 수 있다. - 미국 보건사회복지부 제공 싱가포르와 대만의 공동연구자들은 먼저 대만의 간암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암세포의 전체 엑솜(게놈에서 유전자가 있는 ... ...
[이달의 사물] 뽀로로
과학동아
l
2017.11.06
수술 전 불안감 감소를 위해 진정제 등 약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한 호흡
억제
, 마취시간 연장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VR 영상을 이용한 가상체험이 소아환자들의 수술 뒤 행동방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
과학동아
l
2017.10.29
곧
억제
된 신경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 흥분 상태가 됐고(반발성 흥분), 이를
억제
하자 파킨슨병이 사라졌다. 김 교수는 “연구 결과를 이용해 파킨슨병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doi:10.1016/j.neuron.2017.08.02 ... ...
DNA 돌연변이 발생막는 ‘가이드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25
변질되기 전에 정상화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라며 “DNA 돌연변이
억제
를 통해 암 발병, 암 전이, 암 치료 내성 등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2일자에 실렸다 ... ...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전 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23
전에 발병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연구진은 혈액에서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억제
하는 방법으로 아밀로이드 단백질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뇌에서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침착되는 것과 관계가 깊은 단백질과 혈액인자를 4개씩 찾아냈다. 연구진이 개발한 방법으로 기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사람들은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할 경우 rACC의 활성이 낮아지고 그 결과 rACC의
억제
작용에서 벗어난 PAG의 활성이 커지면서 척수의 통증 회로도 활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노세보 통각과민 효과에 관여하는 이 회로를 ‘rACC-PAG-척수 축’이라고 이름 붙였다. 즉 제삼자의 눈에는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