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진 이미지 자유자재로 바꾸는 AI 반도체 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6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 모델보다 수십 배 많은 연산이 필요하다. 메모라기
작은
모바일 장치에서는 소프트웨어만으로 구현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단일 심층 신경망 뿐 아니라 GAN과 같은 다중 심층 신경망을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모바일에서 학습이 가능한 AI 반도체 ‘GANPU’를 개발했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왜 수퍼 전파자가 많을까
2020.04.06
재채기, 말을 할 때 입에서 나오는 직경 5~6㎛(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수준의
작은
물방울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침을 한번 하면 약 3000개의 비말이 나와 대략 2m까지 퍼져나간다. 감염자의 경우 기관지와 폐에서 증식한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함유 비말’에 실려 주변 공기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처음 만나는 나노입자의 다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가능한 정밀한 입체(3차원) 구조 영상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0.02nm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원자인 수소 원자의 6분의 1 크기다. IBS 연구팀이 개발한 액상 투과전자현미경 기술로 백금입자를 관찰한 사례다. 위부터 아래로 8개의 입자를 관찰했다. (a)는 원자가 발견될 확률을 표시한 원자밀도 ... ...
지하철역 다시 붐비고 휴대전화 이용자 이동 늘고…'사회적 거리두기' 흔들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4
63.6% 줄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자칫 대규모 집단감염으로 확산할 수 있던 상황을
작은
규모 감염으로 통제한 사례도 확인됐다. 서울 구로만민중앙교회는 지금까지 45명의 환자가 나왔는데 온라인 예배 진행을 위해 사전회의에 참석한 감염자를 통해 회의 참석자들이 감염된 예도 있다. 중대본은 ... ...
[주말N수학]4·15총선 승패 '18세' 유권자가 변수
수학동아
l
2020.04.04
연속적인 공간에서 나타내는 함수를 정의했다. 또 연구팀은 유권자의 의견에 생긴
작은
변화가 선거 결과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을 ‘불안정성’이라고 정의했다. 함수의 변숫값의 차이를 0에 아주 가깝게 보냈을 때 함숫값의 차이가 0에 가까워지면 안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 ...
원자 하나까지 세밀하게 보는 가장 정교한 '나노입자 촬영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하나하나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 정보와 수천 장의 이미지를 재구성해 세상에서 가장
작은
원자인 수소 원자의 6분의 1 크기인 0.02nm까지 구분이 가능한 정밀한 입체(3차원) 구조를 밝혀 내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실제로 백금 나노입자를 이용해 원자의 입체 배열을 관찰했다. 그 결과 같은 ... ...
'온라인 과학관' 들어보셨어요?..."연구와 실험 자연스러운 '과학 사랑방' 만들고파"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지난해 열린 전시만 15개에 이르지만 과학전시 애호가인 나조차 반도 못봤다”며 “
작은
전시를 줄이고 과학에 관심 없는 사람도 ‘이건 꼭 보고 싶다’는 전시를 하나 만드는 게 낫다"고 말했다. 이 관장은 “역사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꼭 가서 보는 국립중앙박물관의 기획 전시처럼 ... ...
"개학+검사 지연=대구지역, 코로나 종식 최대 3개월 늦어질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데다, 무엇보다 이들 한 명 한 명이 요양병원 등에서 집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결코
작은
위협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손 팀장은 “이를 고려할 경우, 누적 환자의 최대값은 9000명까지 치솟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환자 발생 기간이 3개월까지 늘어나는 것은 큰 불안 요인이라고 말했다 ... ...
약 300만년 전 인류의 조상 '루시' 두뇌 유인원에 더 가까워
연합뉴스
l
2020.04.02
거친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됐다. 연구팀은 "디키카 유아의 두뇌를 루시처럼
작은
두뇌에 보수적으로 비교해도 현생 인류처럼 장기간에 걸쳐 두뇌 성장을 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했다. 군츠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A.아파렌시스가 유인원과 비슷한 두뇌 조직을 갖고 있지만 ... ...
300만년전 아기의 '늦게 자란 뇌'가 인류와 유인원 운명 갈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2
발표했다. 호모 날레디는 성인의 키가 오늘날의 초등학생 저학년보다
작은
약 140cm에 뇌도 침팬지보다 약간 큰 ‘미니 인류’로, 깊은 동굴에서 최소 15명에게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 1500여 개가 무더기로 발견돼 장례 의식을 치룬 친척 인류로 주목을 받았다. 애초에는 두개골 크기 등을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