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5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는 상자를 좋아해
팝뉴스
l
2020.03.29
위 사진은 고양이가 상자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확연히 보여준다. 7마리의 고양이가
작은
상자 속에 들어갔다. 일부 네티즌들은 고양이 밑에 몇마리가 더 깔라 있을지 모른다고 말한다. 굉장히 불편해보이지만 고양이들은 박스 밖으로 도망치지 않는다. 어떻게든 거기서 버티려는 의지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류구가 밝혀줄 태양계 형성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3.28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소행성 류구는 서로 결합되는 힘이 약한
작은
다공성 물질이 결합한 천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멍에 해당되는 면적이 류구 소행성 전체 표면의 약 30~5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류구와 같은 소행성이 우주 먼지가 천체로 진화할 때 ... ...
[팩트체크] 손 소독제는 바이러스를 어떻게 죽이는 걸까
과학동아
l
2020.03.28
감염원 에어로졸 발생 위험은 소독제를 뿌릴 때 물체 겉면에 묻어있던 바이러스가
작은
알갱이 형태로 떠올라 퍼져나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소독제를 분사하지 말고 수건 등에 묻혀 사람의 손이 닿을 만한 장소를 선별해 닦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손소독제 제조법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커먼즈로서의 과학지식
2020.03.26
사유화, 개방된 인터넷을 폐쇄된 시장으로 바꾸는 행위가 꼽힌다. 고전적인 커먼즈는
작은
규모의 자원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새로운 형태의 커먼즈를 출현시켰다. 새롭게 탄생한 커먼즈 중에서도, 인류 전체가 전지구적 수준에서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화된 ... ...
코로나19도 버거운데…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연합뉴스
l
2020.03.26
때 발령한다. 올해는 작년보다 2주 정도 빨라졌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
빨간집모기에 물리면 99% 이상이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인다. 하지만 일부에서 치명적인 급성 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 가운데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일본뇌염을 ... ...
신약·신소재 연구 속도 빨라진다…결정화 촉진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점점 커져 결국
작은
입자가 소멸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은
작은
결정을 여러 개 만들기 때문에 큰 결정의 성장을 방해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쥐보프스키 교수 연구팀은 이온성 고분자가 녹아 있는 용액에서 이런 통념과 반대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용액 속에서 ... ...
'코로나19 우울증, 일상생활 리듬 유지하며 물리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석 교수는 “재난상황에서는 가짜뉴스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이럴 때는
작은
자극에도 위험을 크게 느끼고 부정적인 예상을 하게 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일정한 시간을 정해두고 뉴스를 보면서 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관련 뉴스를 계획과 준비를 가지고 ... ...
인간 포함 모든 동물 '조상' 5억5천500만년 전 화석 발굴
연합뉴스
l
2020.03.24
동물 '이카리아 와리우티아' 상상도 인간을 포함해 모든 동물의 조상인 쌀알 크기의
작은
화석이 발굴돼 학계에 보고됐다. '이카리아 와리우티아'(Ikaria wariootia)라는 학명이 부여된 이 동물은 양 측면이 대칭을 이루고 앞, 뒤 끝의 구멍이 장과 연결돼 있는 최초의 좌우대칭 동물로 나타났다. ... ...
곤충 눈 닮고 동전보다 얇은 초박형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빛 : 과학과 응용’ 2월 27일자에 발표됐다. 상용 소형 카메라로 찍은 사진(왼쪽 위
작은
사진)과 초박형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비교했다. 하나의 미세렌즈가 찍은 영상은 흐릿하다(가운데 여럿 찍힌 사진 및 오른쪽 위 사진). 하지만 합치면 해상도가 높아진다(오른쪽 아래). KAIST 제공 비교 ... ...
[표지로 읽는 과학] 킹펭귄 90만 마리는 어디로 사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못해 병이 돈 것은 아닐 것으로 추정했다. 펭귄의 이주 흔적도 없었다. 코숑섬 근처의
작은
섬에는 1만 7000쌍의 킹펭귄이 살고 있는데 90만 마리가 사라진 이유를 설명하기엔 부족했다. 연구팀은 유력한 후보로 바다 수온의 변화로 인해 펭귄이 더욱 멀리 헤엄쳐야 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추정하고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