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떠났다. “고맙다”는 말을 연신 하던 황 할머니는 “순창의 꽃이 정말 예쁘다”며 “꼭
보고
가라”는 말도 잊지 않았다.평균 나이 89세의 사진 촬영기!순창읍에서의 촬영이 끝나고 차로 한 시간 정도 거리에 있는 복흥면을 찾았다. 사실 촬영이 가능한 어르신을 섭외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살아남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웠고, 이러한 특징이 멸종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공룡의 이빨을 얇게 잘라 편광렌즈로 본모습. 공룡은 이빨이 자라는 속도가 매일 달라 나이테처럼 구분되는 선이 생긴다. 이를 ‘폰 에브너 증가선’이라 부른다. 공룡 알이 다른 알보다 작은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템스 강 아래에 터널을 만든 마크 브루넬이 목선바닥을 갉아먹는 ‘배좀벌레조개’를
보고
생각해냈지요. 배좀벌레조개는 몸을 보호해 줄 껍데기는 없지만, 톱니처럼 생긴 단단한 입이 있어서 나무를 쉽게 갉아낼 수 있어요. 나무판을 갉은 다음에는 몸에서 나온 분비물을 발라 다른 벌레가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방향을 기준으로 135°만큼 기울도록 춤을 추는 거예요.나머지 벌들은 정찰 벌의 8자춤을
보고
꽃의 위치를 파악한 뒤, 꿀을 채취하러 나선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부터 도마뱀까지! 최고의 사랑 배달부는 누구?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Part 3. 별별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0번 해바라기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엘렌버그와 헤이스베이트의 증명을 새로운 시각에서 해설한 테렌스 타오의 블로그 글을
보고
새로운 도구에 대해 알았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약한 해바라기 추측을 해결했습니다. 수학 발전 돕는 인터넷의 힘새로운 도구가 5월 5일에 나왔고, 약한 해바라기 추측의 논문이 6월 3 ... ...
괴짜 수학자의 실험 일지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오일러 지표는 그대로다.모양을 조금 바꾸더라도 변하지 않는 값이 있으면 이 값을
보고
여러 가지 도형과 공간이 서로 같은지 다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오일러 지표가 복잡한 공간의 성질을 알려주는 셈이다. 최수영 아주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위상수학은 공간의 특징을 써서 난해한 수학 문제를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장기마다 세포외기질의 구성과 역할이 다르고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다. 예컨대 피부에서 뽑아낸 세포외기질은 엘라스틴 성분이 많아 유독 쫀쫀하다. 세포가 특정 세포외 기질의 분자와 결합해야만 장기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그런데 식물에는 사람을 비롯한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계신가요? 백악 기 사파리는 티라노사우루스부터 트리케라톱스 등 수 많은 공룡을 직접
보고
울음소리도 들을 수 있습니다. 불과 50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은 공룡을 영화에서 만 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피부색이나 움직임을 상상 한 가짜였지요. 영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을까요? 미국 루이지애나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갈 수도 있을 거 같았다.하지만 그런 미래는 미나의 흥미를 자극하지 못했다. 미나가
보고
싶었던 것은 인간의 미래였다. 그녀가 갇혀있던 21세기 초의 갑갑한 현재가 아닌 다른 시대. 더 개선되고 더 계몽되고 더 나은 시대.그런 미래는 존재할 수 없었다. 시간여행기술과,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3차원 입체 영상인 홀로그램으로 감상할 수 있어요. 어린시절 주전자를 머리에 써
보고
싶어 깡통 로봇을 만들었다는 감독님의 이야기에 기자단 친구들이 웃음을 터뜨렸어요.원지은(서울 성내초 3) 친구는 “태권브이의 역사를 홀로그램으로 감상하니 더 실감났다”며, “할아버지가 직접 이야기해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