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우주선을 야구공으로, 스쳐 가게 되는 행성을 야구선수라고 보고 초속 10km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기차 위에서 공을 주고받는다고 해보자. 야구선수가 날아온 공을 받은 뒤 기차의 진행방향으로 초속 5km 속도로 던진다면, 밖에서 볼 때 야구공은 초속 15km 속도로 날아갈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했다. 연구용인데다가 오래 두면 상하기 때문이다. 전통누룩으로 만든 전통주를 맛보고 싶었던 기자의 바람도 아쉽게 이뤄지지 않았다.아직까지 일본식 공정 따르고 있어그럼 우리가 슈퍼에서 사먹는 막걸리는 전통주가 아닌 걸까. 엄밀히 따지면 그렇다. 일본식 공정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살짝 ... ...
- [도전! 코드마스터] 이제 운전도 SW에게 맡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친구처럼 반갑게 인사하는 한편, 운전자의 ‘기분’을 읽는 것들도 있었어요. 표정을 보고 현재 기분에 맞는 음악을 틀거나 가고 싶은 장소를 미리 안내해 주는 거예요. 운전석에 달린 센서와 인공지능 덕분이랍니다.앞으로 2020년까지는 300억 개가 넘는 기기와 센서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204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가상현실’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바로 스마트폰 속에 들어 있는 ‘자이로센서’ 덕분이랍니다.자이로센서는 앞을 똑바로 보고 있을 때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방향과 각도를 알 수 있는 감지기예요. 레이싱 게임을 할 때 스마트폰을 기울이면 자동차가 방향을 바꾸는 것도 자이로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했기 때문이지요.자이로센서는 ... ...
- Part 4. 바이러스는 변신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유행도 예상되고 있어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B형 독감을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보고 있어요. B형 독감 바이러스는 돌연변이가 많지 않아, 비교적 예방이 쉽고 증상도 약하기 때문이랍니다.이보다 주의 깊게 봐야할 것은 A형 독감 바이러스의 ‘대유행’이에요. 지난 100년 동안 A형 독감 ... ...
- [소프트웨어] SW교육에 공유를 심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말했다.다음 목표는 컴퓨터를 넘어서는 것“다음에는 스마트폰 앱을 만들어보고 싶어요.”지보초 SW수업에서 ‘흙수저 탈출하기’라는 게임을 만든 이연우 군의 말이다. 그 바람을 알았는지 강신현 교사의 목표도 스마트폰 앱을 만드는수업을 하는 것이다. 앱을 만드는 수업은 여러 초등학교가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3화 탈출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안 돼요.”남자는 짜증 난 표정을 짓더니 고개를 절레절레 저었다.“젠장, 미리 재 보고 채웠어야 했나….”남자가 하림에게 다가오며 말했다.“사슬을 잠깐 풀어줄 테니 바닥에 엎드려. 딴짓을 하면 안 되니까.”하림은 시키는 대로 엎드렸다. 남자는 사슬에 달린 자물쇠를 잡고는 한숨을 쉬며 ... ...
- [2017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즐거운 수학 체험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놀러오세요!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는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 수학을 만나고, 엿보고, 꿈꿀 수 있는 어디에도 없던 수학 특별전을 선보입니다!-장소: 국립중앙과학관 특별전시장-시기: 5월~7월★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수학문화팀을 중심으로 대중이 공감하는 수학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하지만 최근 싱가포르 국립대 생명과학과 피터 응 교수팀은 이 게가 이전까지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새 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주키스’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해리플랙스 세베루스는 길이와 너비가 1cm 미만이며, 달걀 모양의 등껍질은 표면이 우툴두툴하다. 또 어두운 심해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시간이 오히려 적었기 때문에 수정될 확률이 적습니다.난자를 향해 움직이는 정자들을 보고 있으면, 저렇게 작은 꼬리에서 어쩜 이런 힘이 나올까 싶습니다. 사실 이것도 오류인데요, 정자가 난자 가까이 갈 수 있는 것은 자궁의 근육 운동 덕분입니다. 정자의 꼬리는 난자 주변에 가서야 비로소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