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뚱뚱한 미국' 불가피한 선택 비만 치료제 정식 인정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최초로 미국에서 승인된 약이다. 그러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커서 표결이 6 대 5로
통과
됐으며 약의 시판 후에도 제조회사가 부작용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다는 조건을 붙여서 승인됐다. 부작용을 감수하고서라도 약을 먹어 살을 빼야 할 만큼 미국 내에서의 비만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한편 짧은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돌이다. 이런 돌들이 얼키서키 쌓여 있어 공기가 큰 저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너덜을
통과
할 수 있다.겨울이 되면 공기의 온도는 영하인 반면 너덜을 이루고 있는 돌들은 여름과 가을을 지내면서 데워졌기 때문에 상온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공기의 부력 때문에 차가운 공기가 너덜의 하류부로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것이다.작년 독일 훔볼트 대학의 한 연구진은 한쪽팔을 절단한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유령
통과
대뇌피질의 관계를 연구해 흥미를 끌었다. 팔이 절단된 후 대뇌피질에서 팔 운동을 조절하는 부위는 다른 감각을 담당하기 위해 재구성 되고 있었다. 이때 재구성이 더 많이 진행될수록 유령통의 정도가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떄문에 생긴다.즉 눈에 들어오는 평행광선이 굴절매개물질(각막,수정체,초자체 등)을
통과
하면서 많이 꺾이기 때문에 상이 망막 위에 정확히 맺히지 않고, 그보다 전방에 맺힌다.근시는 대부분 후천성으로 주위환경이 직접적인 원인이다.즉 부적절한 독서 자세와 독서거리,흐린 조명,근거리에서의 ... ...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로바스타틴'이라 명명된 이 물질을 1980년 특허출원했고 동물을 사용한 안정성 실험에도
통과
해 곧 임상시험 단계로 이어졌다. 이 모든 연구 개발 책임자는 알버츠였다.그런데 머크 연구소에 충격적인 소식이 날아들었다. 일본 과학자들이 이미 같은 물질을 발견했지만 독성때문에 폐기했다는 ... ...
2. 지구는 태양의 혜택을 얼마나 누릴까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그리고 파장이 비교적 짧은 적외선 영역의 것들이다. 이런 복사선들은 대기층을 쉽게
통과
한다. 이들을 통해 지구는 태양에너지를 전해 받는다.지구 역시 태양처럼 복사에너지를 우주로 방출한다. 지구표면은 태양표면보다 온도가 낮아서 태양에서 나오는 복사선에 비해 파장이 긴 적외선을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병은 나아도 고통은 남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맞는 셈" 이라고 지적한다.암과 함께 통증 전문가들이 대표적으로 꼽는 치료 대상은 분만
통과
수술 후에 오는 통증이다. 아기를 낳을 때 산모가 느끼는 통증은 암으로 인한 것보다 더 크다고 한다. 더욱이 분만통은 몸에 무슨 병이 있어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 ...
한국최초 홀로그램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이용해 포토레지스터필름(홀로그램을 기록하는 필름)에 배경을 넣었다. 배경필름을
통과
해 이미지를 가진 레이저빛이 포토레지스터필름에 상을 맺게 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한 레이저빛은 아르곤가스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4백58nm의 파장을 지녔으며 푸른 빛을 띠었다. 이와 같이 물체의 이미지를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광속을 측정했다(그림8). 회전거울이 정지해 있으면 광원에서 나온 빛이 반투명거울을
통과
해 회전거울에 부딪힌 다음 먼 곳에 있는 거울에 반사돼 같은 길을 되돌아온다. 그리고 이 빛은 반투명거울에서 직각으로 반사돼 스크린에 밝은 점으로 나타난다. 이때 회전거울을 회전시키면 반사광의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밝혀졌다. M51 중심부에서 별들이 폭발적으로 탄생한 것은 왜소은하가 이 근처를 바싹
통과
했던 4억년 전이라고 생각된다. 영문자 ‘y’를 닮은 부분은 그곳에서 먼지에 의한 별빛의 흡수가 일어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 중심에는 밝은 반점이 있는데, 밝기와 크기로 봐서 양방향으로 제트를 내뿜는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