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상태로 장벽을 쉽게 뚫고 들어갈 수 있다. 지용성 물질은 장벽을 구성하는 세포막을 잘
통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드나 부탄 가스는 다른 물질을 녹이는 유기용매이므로 아예 뇌를 망가뜨려 중추신경을 파괴한다. 그래서 단 1회의 흡입으로도 뇌가 망가지거나 생명을 잃을 수 있다 ... ...
1. 인간은 왜 입체감을 느끼나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그리고 렌티큘라 렌즈를 화면 앞에 설치하면 각각의 화상은 렌티큘라 시트를
통과
한 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시청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때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시청자의 위치와 범위, 그리고 입체감의 정도는 렌티큘라 시트의 곡률, 두께, 균일도 등의 특성에 따라 ... ...
1. 물질세계의 터널 공사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줄여준다. 이것과 비교할 만한 현상이 물질ㅇ 세계에는 없을까.가파른 고갯길 대신 터널
통과
과산화수소와 타르타르산나트륨칼륨의 반응시 염화코발트(CoCl₂)(사진1)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사용했을 때는 큰 차이를 보여준다.(사진2) 염화 코발트를 첨가했을 때는 같은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 ...
1. 음식 : 유아·아동기 태아부터 4세까지 DHA 아라키도닉산 공급 필수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잘 확인할 수 없는 처음 3개월 간이 가장 문제가 되는 시기다. 알코올 성분은 태반을 쉽게
통과
해 태아에게 전달되는데, 특히 태아의 세포분열이 활발히 일어나는 임신초기에 알코올의 독성효과가 직접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임신부가 담배를 많이 피우면 아기는 심리나 학습능력에 손상을 받는다. ... ...
첨단화된 북한 감시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소식을 처음 전한 것은 미국의 정부소식통들이었다.KH-11이 옛소련 상공을 하루 네 번씩
통과
하면서 체르노빌 발전소 기술진들의 다급한 무선교신을 탐지해 비상사태를 간파했던 것이다. KH-11은 3백21-4백81km 상공에서 사고현장의 사진을 찍어 워싱턴의 국립사진판독센터로 보냈고, 컴퓨터로 처리된 ... ...
"자판기 동전 분리기는 내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무게가 가벼운 동전은 경사로로 가지않고 반환통로로 떨어져 버린다(①). 경사로를
통과
한 동전은 자석이 설치돼 있는 경사로를 따라 굴러간다. 동전에 따라 금속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자력의 영향이 달라 떨어지는 속도가 다르다. 정상적인 동전은 곧 바로 수납기로 떨어진다. 그러나 지나치게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약간 위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인다. 4월 10일경 햐쿠다케혜성은 페르세우스자리 정중앙을
통과
한다.이때 혜성의 움직임은 지구에 근접했던 3월 말처럼 빠르지 않지만 오늘과 내일 관측된 위치가 약간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만큼 빠른 편이다. 저녁 9시 무렵 혜성의 고도가 10도 정도 유지되는 1 ... ...
"열려라! 커튼" 실현시킨 휴먼스페이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된다. 이때 액정분자가 정열하면 빛이
통과
해 유리가 투명하게 보이고, 흩어지면
통과
하지 못해 불투명하게 보인다.만일 액정크리스털 유리를 음성인식이 가능하도록 컴퓨터에 연결시키면 음성으로 투명한 창문이 되기도 불투명한 '유리커튼' 구실도 할 수 있다 ... ...
행글라이딩, 패러글라이딩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통과
하는 공기는 아래쪽을
통과
하는 공기보다 같은 시간에 먼 거리를 빠른 속도로
통과
한다.행글라이더 날개의 모양에 의해 날개 위쪽의 압력은 낮아지고 이로 인해 날개를 끌어올기려는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이 양력이다. 그리고 날개를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들어가는 공기에 의해 날개가 기울어져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필름과의 결합으로 사진은 발명됐다. 필름이 발명되기 훨씬 전부터 바늘구멍(pinhole)을
통과
한 풍경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어둠상자인 카메라 옵스큘러(camera obscura)가 있었다. 여기에 렌즈를 부착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에 이르러서다.이것이 바로 카메라의 효시다.사진은 1820년대에 프랑스의 J. N.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