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립
d라이브러리
"
자기신뢰
"(으)로 총 245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독「막스 플랑크」분말야금 연구소를 보고
과학동아
l
198809
필자는 85년 7월 한국―독일 공동연구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인 구조용 세라믹스 개발 과제에 참여하여 1년동안 남부 독일의 공업도시 슈투트가르트 막스플랑크 분말야금 연구소에서 일했다. 필자는 우리나라 정부 출연연구소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비교함으로써 우리 연구소가 개선해야 할 점을 ... ...
아쉬운것 ·잃는것·그늘진것
과학동아
l
198808
중학교 시절만큼은 예외였다. 그 땐 새록새록 알아가는 기쁨을 맛보는 것이 좋았다. 더욱이 왕성한 지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정도로 시간적 여유도 중분했다. 비록 여고 시절을 '공부때문에 아무 것도 못한 학생'으로 지냈지만 적어도 중학교 시절은 그렇지 않았다는 얘기다.한마디도 알찬 ... ...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808
인간의 두뇌를 닮은 컴퓨터를 꿈꾸기 전에 먼저 두뇌에서 진행되고 있는 복잡한 정보처리과정의 원리가 밝혀져야 한다.사람들은 인간의 두뇌가 지니고 있는 잠재력을 실감 못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는것 같다. 흔히 머리가 좋은 사람을 가리켜 '컴퓨터'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마치 성능이 뛰 ... ...
컴퓨터에세이① 인공지능은 바벨탑인가
과학동아
l
198807
컴퓨터는 만능의 척척박사라는 찬사와 지독한 멍청이라는 경멸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존재이다.참으로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에 대해 얘기하며 그보다 더 많은 사람이 컴퓨터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있고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의 도움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러면서도 막상 많은 ... ...
스푸트니크 충격은 나를 우주세계로…
과학동아
l
198806
노오현(盧五鉉·49)박사는 서울대 조선항공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대학에서 항공우주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그곳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1973년 귀국하여 1년간 국방과학연구소의 책임연구원으로 있다가 1974년에 서울대로 옮겨 항공공학과 교수로 후학들을 양성중이다. 전공분야는 공기 ... ...
마약, 청소년을 이렇게 파괴한다.
과학동아
l
198805
최근 또다시 인기인들의 마약사용이 문제가 되었다. 마음 약한 청소년은 이들을 흉내낸다. 마약의 위험성과 사용이유, 예방법 등을 살펴본다. 지난 60년대 후반부터 청소년들의 약물복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대마초와 강한 휘발성매체(본드)의 남용이 두드러지게 눈에 띄었다. 더우기 최 ... ...
반복기록과 지우는 것이 가능한 광디스크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8804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정보의 양, 이에 따른 기억매체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이다.현재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사회전반의 고도정보화는 각종정보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방대한 양의 정보를 조밀하게 저장할 수 있고 신속히 기록·재생·수정할 수 있는 새로운 기억장치의 개 ... ...
PART1. 핵무기 배치와 핵전략 흔들리는「공포의 균형」
과학동아
l
198803
핵무기의 정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선제공격의 충동이 커지고 있다.1945년 8월 6일 아침 8시 15분 '에놀라 게이'라는 애칭의 B29 폭격기가 '히로시마' 상공에 은빛날개를 번쩍이며 나타났다. 조금 전 공습경보가 해제돼 방심하던 이 도시는 상공 5백80m 지점에서 작렬한 인류 최초의 원자폭탄으로 한 순간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01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닉」이 띄워진 이래 세계 각국은 3천5백여개의 인공위성을 발사하였다. 인공위성이라는 것은 자연 또는 인공의 모체(母体) 주위를 추진 동력없이 계속 회전하는 인공물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모체의 인력(또는 중력)과 위성회전시에 생기는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게 ...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
과학동아
l
198712
KAL 007 잔해도 쉽게 찾을 수 있어최근 이른바 거대과학에서 프랑스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은 많이 알려져 있다. 항공·우주산업에서 그렇고 원자력등 에너지분야에서도 프랑스는 독자의 능력을 보이고 있다. 해양연구에서는 어떨까. 이 분야에서 프랑스는 '최근에'가 아니라 오래전부터 선두의 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