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3,152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
과학동아
l
201606
표현한다.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다는 얘기다. 이를 채취해 미생물연료전지 안에 넣으면,
특정
미생물이 살아남아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전기를 만들지 못하는 나머지 미생물은 시스템 안에서 자연적으로 도태된다. 유비쿼터스 미생물 이용해 응용 늘린다장 교수는 “작고 가벼우면서 어디에서나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06
제로데이 취약점(CVE-2015-5122)을 공격한 해커에 의해 일본의 일부 웹사이트가
특정
사이트로 우회돼(이를 파밍이라고 한다) 사용자들의 단말기에 백도어를 감염시킨 사례가 있었다. 제로데이 취약점만 알면 백도어를 심는 건 아주 간단한 일이기 때문에 해커들 사이에서는 도·감청에 활용할 수 있는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06
않은 문제다. 인체는 수천, 수만 개의 신경과 근육이 유기적으로 결합돼
특정
부위에서
특정
신호를 깨끗하게 추출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뇌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려는 연구를 오랫동안 해왔다.현재는 ‘표면 근전도’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 표면 근전도란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06
이상 많은 암 관련 유전자를 찾아냈다.이 교수는 “암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면 유전체의
특정
영역이 복제되거나 소실돼 유전자의 개수가 변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 알고리즘은 생체 빅데이터로부터 암과 관련된 유전변이 부분을 찾는 데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이런 것도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
수학동아
l
201606
방법이 있어요. 자신에게 특별한 사건을 한 문장으로 만들어 암호로 이용하는 거죠.
특정
단어는 시간이 지나면 잊기 쉽지만 본인에게 의미 있는 문장 하나 정도는 기억하기 쉽잖아요. 단어의 첫 글자만 따서 만든 비밀번호는 기억 못 해도, 문장은 기억할 수 있고요. 실제로 패스프레이즈 방법은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
과학동아
l
201606
만들 수 있다. 예컨대 ‘Ctrl + 8’을 누르거나 정해진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의
특정
기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식이다.운영체제 유닉스의 개발을 주도한 케니스 레인 톰슨(현재 구글 소속)은 1984년에 발표한 기고문(Reflections on trusting trust)에서 이미 컴파일러 백도어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 ...
[Photo] 침철석(Goethite) 괴테에게 헌정된 광물
과학동아
l
201606
등은 누가 소유했는지에 따라 그 가치 평가가 크게 달라진다. 미술품의 경우 유명인사가
특정
작가의 작품을 구입하면 바로 그 작가에 대한 평가가 바뀐다. 2009년 스위스의 바젤 미술 전시회에서 할리우드 스타 브래드 피트가 한국 작가의 작품을 구입하자, 국내 언론에서 이를 앞 다퉈 보도했을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
수학동아
l
201606
박사는 8차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의 정리를 이용했습니다. 여기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를 잘 찾기만 하면 그걸 이용해서 최적의 밀도가 얼마 이하라는 점을 보일 수 있다고 설명한 정리가 있습니다. 문제는 이 함수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는 겁니다.그런데 피아초프슈카 박사가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
수학동아
l
201606
암과 관련된 유전자라고 밝혀지는 게 하나도 없었습니다. 이 경우는 제1종 오류와 반대로
특정
유전자가 암과 관련성이 있는데도 없다고 오류(제2종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지요. 유전학자는 대개 막대한 비용을 투자받아서 연구하는데 연구 성과가 없으니 매우 난감했지요. 그래서 최근에는 ... ...
[과학뉴스] ‘해충 퇴치!’ 달콤한 피 흘리는 식물
과학동아
l
201606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솔라눔 둘카마라가 해충의 공격을 받았을 때 흘리는 용액에
특정
개미들이 반응한다는 데 주목했다. 그 중에는 해충을 공격하는 개미가 세 종류 이상 포함돼 있었다. 이런 개미들은 공격당한 식물을 자주 찾아갔고, 정상적인 잎보다 상처 입은 잎 위에서 세 배가량 더 오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