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3,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돼지 심장 품은 원숭이, 2년 생존 기록과학동아 l201605
- 장기를 이식 받은 원숭이가 몇 분을 버티지 못하고 죽었다. 면역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 특정 유전자를 없앤 돼지의 장기를 이식하더라도 몇 개월을 버티지 못했다.연구팀은 원숭이의 면역세포에 반응하는 항체를 주입해 면역 거부 반응을 최소화시켰다. 또 돼지 심장의 유전자를 조작해 혈액의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05
- GFP) 유전자를 합성해 형광 빛을 내는 ‘GFP 토끼’를 발표했다. 과학계에서 특정 기능을 확인하고자 GFP를 사용한 건 이전부터 흔한 일이었지만 예술계에서 전시를 목적으로 포유류에 유전자를 합성한 건 처음이었다. 그는 이런 예술 방식을 ‘유전자이식 아트(transgenic art)’라고 칭하며 “합성한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05
- 등 다양한 요인이 시신의 부패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할 때 특정 연구의 결과를 검증 절차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국에만 여섯 군데의 시체농장이 있고 지역과 기후에 따른 시신의 부패 결과를 비교 검증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나뭇잎 모양으로 생장하면 ‘엽상지의류’, 나뭇가지처럼 생장하면 ‘수지상지의류’, 특정한 모양 없이 생장하면 ‘가상지의류’라고 부른답니다.지의류는 사막부터 남북극까지, 지구상 어디에든 살 수 있는 강한 생물이에요. 바닷가나 산소가 부족한 고산지역은 물론, 도시 콘크리트처럼 다른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05
- 바나나 향이 나는 대장균 향수, 포도주 성분이 들어가 있어 몸에 좋은 맥주, 몸 안의 특정 성분에 반응해 변 색깔을 바꾸는 유산균 캡슐 등 가지각색이다.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2009년부터 매년 학생들과 함께 아이젬에 작품을 출품하고 있다. 합성생물학을 우리나라에도 알리자는 목표로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05
- 자체에 대한 진술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자들이 유의확률을 특정 가설이 참/거짓일 확률로 잘못 해석한다.연구자가 유의확률에 영향력을 행사해 연구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만들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유의확률이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05
- 한다. 문제는 아동학대 신고 전화를 누적해서 셀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는 점이다. 특정 횟수 이상 같은 신고가 들어오면 이에 대한 경고를 할 수 있는 ‘누적 데이터 알람 시스템’ 구축이 꼭 필요하다. 신고가 일회성으로 끝나면 막을 수 있는 학대도 막을 수 없게 된다.“작은 말 한 마디도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05
- GMO와는 질적으로 다른 환경위해성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미생물의 특정 유전자가 삽입된 콩은 GMO의 일종이지만 생물학적으로 여전히 콩이다. 그런데 합성생물학으로 콩의 최소유전체에 다양한 유전자를 대거 삽입한다면, 이 콩을 생물학적으로 콩이라 부를 수 있을까.자연산 ... ...
- [Tech & Fun] 왜 피해자를 비난하기 쉬울까과학동아 l201605
- 입어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많은 비난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같은 증오 범죄(특정 그룹의 사람들을 향한 이유 없는 증오나 차별)의 표적이 돼도 사회적 약자보다 강자가 더 많은 동정표를 얻고, 약자의 입장에 처할수록 (약하니까) 당할 만하다는 반응이 많다(doi:10.1016/j.jesp.2010.10.014). 강간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04
- 애기장대에 돌연변이를 일으킨 뒤 각각 피우는 꽃 모양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다.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만들고, 꽃의 어느 부위가 생기지 않는지 관찰하는 방식이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애기장대가 꽃을 만드는 데 작용하는 여러 호르몬을 역할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이를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